이동직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후기에, 대사간, 대사헌, 관찰사 등을 역임한 문신.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749년(영조 25)
사망 연도
미상
본관
전주(全州)
주요 관직
부교리|대사간|대사헌|관찰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후기에, 대사간, 대사헌, 관찰사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전주(全州). 할아버지는 이정일(李廷一)이고, 아버지는 이종휘(李種徽)이다. 어머니는 최보흥(崔普興)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775년(영조 51) 생원으로 정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는데, 이 해 예문관검열을 뽑기 위하여 왕이 친림한 특별시험에서 한영운(韓永運)·권빈(權儐) 등 세 사람이 뽑혔다.

이어 홍문관정자·저작·박사 등을 거쳐, 1782년(정조 6) 감찰이 되고, 이듬해에는 초계문신(抄啓文臣)에 뽑혔으며, 1784년 홍문록에 오른 뒤 수찬이 되었다. 이어 교리가 되어서는 홍국영(洪國榮)과 권세를 같이하려는 무리들을 탄핵하였다.

1792년 부교리로 재직 중 박지원(朴趾源)의 저서 『열하일기』의 문체가 저속함을 상소하였고, 다시 남인 이가환(李家煥)을 서학교도라고 논척하여 충주목사로 좌천시키는 등 주자학적 전통에 입각하여 신학문의 배척에 앞장섰다. 1800년 대사간에 오르고, 그 뒤 대사헌·관찰사 등을 역임하였다.

참고문헌

『영조실록(英祖實錄)』
『정조실록(正祖實錄)』
『순조실록(純祖實錄)』
『국조방목(國朝榜目)』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