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출신. 1919년 당시 계성중학교(啓聖中學校) 학생 이만집(李萬集) 등이 서울의 이갑성(李甲成)과 연락을 취하며 독립만세운동을 계획하였다. 이 때 계성중학교 학생대표로서 비밀리에 전교생을 규합하는 등 사전계획에 적극 가담하였다.
3월 7일 독립선언서 20여 매를 가지고 칠곡군 인동면 진평동으로 가서 애국동지 이상백(李相柏) 등을 설득, 칠곡군의 거사를 일으키게 하였다. 3월 8일의 독립만세운동으로 많은 사람들이 부상당하고 옥고를 치렀다. 자신은 검거되지 않았으나, 이 해 4월 18일 대구지방법원의 궐석재판에서 징역 6월형을 선고받았다.
4월 2일에 김수길(金壽吉) 등과 함께 대구 시내의 조선상인들에게 폐점철시와 일본인과의 거래를 끊도록 종용하는 동정표시경고문(同情表示警告文) 제1호 300여 매를 등사하였다. 시내와 서문외 시장에 배부한 결과 80여 점포가 호응해 폐점철시를 단행하였다.
3일에는 김석진(金石鎭)의 집에서 김수길·이종식(李鍾植) 등과 함께 전날의 동정표시경고문 제1호를 받고도 호응하지 않은 서문외 시장의 포목상 김응수(金應壽)와 경정(京町)의 비단상 김경부(金敬夫)에게 방화하겠다고 위협하는 협박문을 우송하였다.
6일에는 다시 김석진의 집에서 김수길 등과 함께 대구경찰서장에게, 지난 3월 8일의 서문외 시장 만세운동 때 많은 시위군중을 검거한 것에 항의하고 암살하겠다는 경고장을 우송하였다. 이어 동정표시경고문 제2·3호를 각각 등사해 시내 상가에 배부하였다.
13일에는 일제가 친일파를 앞세워 자제회(自制會)라는 기구를 설립해 많은 조선인을 가입시켜 독립운동을 차단하려고 획책하는 것에 분개하여, 중추원참의(中樞院參議) 박중양(朴重陽)과 수정동 2가 구장 박응훈(朴應勳)에게 암살하겠다고 위협하는 경고장을 우송하여, 그들의 각성을 촉구하는 등 계속 독립운동을 전개하다가 잡혔다.
1921년 6월 대구복심법원에서 징역 1년 6월형을 선고받았다. 출옥 후 1926년 일본의 고베신학교[神戶神學校]에 유학하면서 교민들에게 독립사상을 고취해 1주일간 구금되기도 하였다. 1927년에서 1936년까지 대구 서문교회의 목사로 시무하며 독립사상 고취에 활약하여 일제의 끊임없는 감시를 받았다. 1941년 9월부터 이듬 해 말까지 만주 간도(間島) 명월구(明月溝)의 제일교회목사로 시무하면서 교민들에게 독립사상과 민족의식을 고취하였다.
최만혁(崔萬赫)에게 군자금을 지원하고 집회장소와 연락장소를 지원하였다. 1943년에서 1945년 광복 때까지 일본에서 목사로 집무하던 중 악질목사로 지목받아 징용으로 동원되었으나 곧 광복을 맞았다. 1956년 5월 1일 사설강습소 형태로 한국이공학원(현 대구대학교의 모체)을 설립하였다.
1968년 대통령표창, 1977년 건국포장을 받았고, 1990년 애국장에 추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