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완용 ()

근대사
인물
대한제국기 동지돈녕원사 · 수원군수 · 봉상시제조 등을 역임한 관료. 친일반민족행위자.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872년(고종 9) 11월 13일
사망 연도
1937년 2월 4일
본관
전주
출생지
서울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대한제국기 동지돈녕원사 · 수원군수 · 봉상시제조 등을 역임한 관료. 친일반민족행위자.
생애 및 활동사항

1872년 서울에서 출생했다. 1893년 홍릉참봉과 예릉참봉, 1896년 삭녕군수, 1897년 통진군수를 지냈다. 1899년 시강원 시종관을 거쳐 중화군수에 임명되고 정3품을 받았다. 1900년 비인군수에 임명됐으나 부임하지 않고 비서원승, 봉상시 부제조를 역임했다. 같은 해 11월 익산군수에 임명됐으나 부임하지 않고 중추원 의관이 되었다. 1901년 내부 회계국장 겸 시종원 시종을 지내고 그해 5월 강화부윤에 임명되고 종2품에 올랐다. 1903년 중추원의관에 이어 종정원경을 지내고, 1904년 동지돈녕원사 및 태복사장, 1905년 수원군수, 1907년 봉상시 제조를 차례로 역임했다.

한일합병 직후 「조선귀족령」에 의거하여 일본정부로부터 조선귀족 자작의 작위와 3만원의 은사공채를 받았다. 1912년 8월 일본정부로부터 ‘귀족의 작위와 은사금을 받은 자로서 한일관계에 특히 공적이 현저한 자’로 인정되어 한국병합기념장을 받았다. 이후 종척집사, 장의위원, 수빈원 등 조선 왕실의 의례관계 사무를 담당했다. 1925년 12월 일본정부로부터 정4위에 서위되었다. 1937년 2월 4일 사망했다.

이완용의 이상과 같은 활동은 「일제강점하 반민족행위 진상규명에 관한 특별법」 제2조 제7·19호에 해당하는 친일반민족행위로 규정되어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 보고서』 Ⅳ-13: 친일반민족행위자 결정이유서(pp.578∼584)에 관련 행적이 상세하게 채록되었다.

참고문헌

『대한제국 관보(大韓帝國 官報)』
『매일신보(每日申報)』
『순종실록(純宗實錄)』
『조선귀족열전(朝鮮貴族列傳)』
『조선신사보감(朝鮮紳士寶鑑)』
『조선총독부관보(朝鮮總督府官報)』
『한국병합기념장재가서(韓國倂合記念章裁可書)』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 보고서』Ⅳ-13: 친일반민족행위자 결정이유서(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 현대문화사, 2009)
『친일인명사전』3(민족문제연구소, 2009)
집필자
박철하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