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춘경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전기 서령을 역임한 역관.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미상
주요 관직
서령(署令)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전기 서령을 역임한 역관.
생애 및 활동사항

1476년(성종 7) 왕이 선정전(宣政殿)으로 불러 한어(漢語)로 문답할 정도로 실력이 뛰어났다. 2년 뒤 명나라에 가는 사신을 따라 역관으로 다녀왔는데 마포(麻布)를 과다하게 가져간 죄로 사헌부의 탄핵을 받자, 그 대가를 배상하였으나 고신(告身: 관직 임명 사령장)이 박탈되었다.

그러나 명나라와의 외교에 정통한 역관을 우대할 필요가 있다는 여론으로 2년 만에 고신을 환급받게 되었다. 1488년 경복궁 경회루에서 열린 명나라 사신을 위한 연회석상에서 사신이 직접 이춘경의 직위를 올려줄 것을 요청하자, 7품직인 서령(署令)에서 한 계층 승자(陞資)되었다.

참고문헌

『성종실록(成宗實錄)』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