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화주 ()

근대사
인물
일제강점기 때, 독립군, 대한통군부, 참의부 등에서 항일무장투쟁을 전개한 독립운동가.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미상
출생지
평안남도 초산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일제강점기 때, 독립군, 대한통군부, 참의부 등에서 항일무장투쟁을 전개한 독립운동가.
생애 및 활동사항

평안남도 초산 출신. 1919년 3·1운동 이후 만주로 건너가 독립군에 입대하여 항일전투에 참전하였다. 1922년 만주 환인현(桓仁縣)에서 채상덕(蔡尙悳) 등이 조직한 대한통군부(大韓統軍府)에 가입하여 제1중대원으로 그 해 6월 1일 강계방면에 진입하여 일본경찰 2명을 사살하고 주재소 등을 소각하였다.

1923년 6월 의군부(義軍府) 제1중대원으로 소대장 전용휴(田龍畦)의 지휘 아래 대원 백운기(白雲基)·김석홍(金錫弘)·한권웅(韓權雄)·박제환(朴濟煥)·이선택(李善澤) 등과 같이 강계방면으로 출동, 그 곳 어뢰면(漁雷面) 일본경찰관주재소를 습격, 소각하고, 이어서 풍청동(豊淸洞) 주재소도 공격하여 파괴한 뒤 귀대하였다.

1924년 참의부(參議府) 제1중대원으로 활동하고 있을 때 조선 총독 사이토 마코토[齋藤實]가 국경지방을 시찰하기 위하여 중강진에서 신의주까지 배를 타고 내려온다는 정보를 입수, 소대장 한권웅의 지휘아래 5월 19일 6명씩 2개조로 나누어 강변에 매복하였다.

그러나 총독이 탄 배가 다가오자 사격하였으나 사살하지는 못하였다. 이 해 6월 다시 국내에 잠입하여 활동 중 강계군 종서면에서 일본경찰과 치열한 교전끝에 잡혀 무기징역형을 선고받고 복역하다가 광복으로 출옥하였다.

상훈과 추모

1963년 건국훈장 독립장이 추서되었다.

참고문헌

『대한민국독립유공인물록』(국가보훈처, 1997)
『독립운동사자료집』11·14(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1976·1978)
『대한민국독립운동공훈사』(김후경·신재홍, 한국민족운동연구소, 1971)
『한국독립운동사』(애국동지원호회, 1956)
『동아일보(東亞日報)』
집필자
신재홍(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