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신공희설화 ()

목차
관련 정보
구비문학
개념
초자연적인 존재에게 산 사람을 제물로 바치는 내용의 설화.
내용 요약

인신공희설화는 초자연적인 존재에게 산 사람을 제물로 바치는 내용의 설화이다. 이 설화는 사신(蛇神) 퇴치형, 두꺼비 보은형, 해양형, 축조형으로 나눌 수 있다. 우리나라의 인신공희설화는 사람을 제물로 바치는 악습이 사라지게 된 유래를 전하는 내용이 많은데, 인신공희의 습속이 있었음을 알려 주고 인간의 문화가 발달함에 따라 악습이 부정되고 사라져간 흔적을 반영하고 있다.

정의
초자연적인 존재에게 산 사람을 제물로 바치는 내용의 설화.
내용

우리나라의 인신공희설화는 사신(蛇神) 퇴치형, 두꺼비 보은형, 해양형, 축조형으로 나눌 수 있다. 사신 퇴치형으로는 「김녕사굴설화」, 「백일홍설화」 등이 있다. 제주특별자치도의 「김녕사굴설화」는 무속신화 「토산당본풀이」의 내용과 유사하다. 김녕사굴의 큰 뱀에게 처녀를 제물로 바치는 풍습이 있는데, 서련(徐憐) 판관이 부임하여 이 뱀을 잡아죽이고 자기도 죽었다. 그 뒤로 사신(蛇神)에 대한 인신공희가 사라졌다. 두꺼비 보은형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어느 마을에 한 소녀가 두꺼비를 먹이고 돌보았다. 이 마을에는 큰 지네가 살고 있어 매년 처녀를 바치는 악습이 있었는데, 소녀의 차례가 되었다. 두꺼비는 자신을 키워준 소녀에게 보은하고자 지네를 죽이고 자신도 죽는다. 이후 지네에 대한 인신공희의 악습이 사라졌다. 해양형으로는 「거타지설화」, 「심청설화」 등이 있다. 강이나 바다의 파도를 잠재워 무사히 항해할 수 있도록 사람을 제물로 바친다는 내용이다. 축조형으로는 「공갈못설화」, 「벽골제설화」 등이 있다. 제방을 쌓거나 집을 지을 때 사람을 제물로 바쳐서 무사히 완공할 수 있었다는 내용이다.

특징

인신공희설화에서 희생 제물은 보통 처녀, 어린아이와 같은 사회적 약자이다. 이들의 희생은 자의가 아닌 타의에 의해, 즉 집단의 이익을 위해 강압적으로 이루어진다. 효행설화에서 나타나는 희생 제물의 희생이 효를 실행하기 위한 자발성에 의한다는 점에서 인신공희설화와 구별될 수 있다. 또한 제물을 받는 신이 뱀, 이시미, 용, 이무기, 지네 등이며, 악한 존재로 나타난다는 특징이 있다.

의의 및 평가

우리나라의 인신공희설화는 사람을 제물로 바치는 악습이 사라지게 된 유래를 전하는 이야기가 많다. 이 설화는 인신공희의 습속이 있었음을 알려 주고 인간의 지혜와 문화가 발달함에 따라 이러한 악습이 부정되고 사라져 간 흔적을 반영하고 있다.

참고문헌

원전

『한국구비문학대계』(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0∼1988)
최상수, 『한국민간전설집(韓國民間傳說集)』(통문관,1958)

논문

심우장, 「효행설화와 희생제의의 전통」(『실천민속학연구』 10, 실천민속학회, 2007)
이영수, 「한국설화에 나타난 인신공희의 유형과 의미」(『국학연구』 13,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04)
이정재, 「희생제의 설화의 원형성 연구 : 인신공희 설화 중심」(『구비문학연구』 20, 한국구비문학회, 2009)
최운식, 「심청전 관련 설화의 전승 양상과 성격」(『교원교육』 23,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07)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