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용사 ()

경주 인왕동사지 전경
경주 인왕동사지 전경
불교
유적
경상북도 경주시에 있었던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김인문을 위한 원찰로 창건한 사찰. 사적.
이칭
이칭
경주 인왕동 사지
정의
경상북도 경주시에 있었던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김인문을 위한 원찰로 창건한 사찰. 사적.
개설

『삼국유사(三國遺事)』에 의하면 신라가 삼국을 통일한 후 당나라와 사이가 안 좋을 때 당나라 옥에 갇혀있던 김인문을 위해 지었던 절로 이 곳에서 관음도량을 열었다. 671년 김인문이 신라로 돌아오다 바다에서 죽으니 그 도량을 고쳐서 미타도량으로 삼았다고 한다. 『삼국사기(三國史記)』는 김인문이 694년(효소왕 3) 당나라에서 병으로 죽었다고 하여 죽은 연대와 죽은 이유에 대해 『삼국유사』와 다른 기록을 전하고 있다. 7세기 후반 김인문을 위해 지은 사찰은 통일신라 때까지 존속되다가 고려·조선시대에 폐사된 것으로 추정된다.

내용

경주 남천을 두고 월성의 남쪽에 위치한 전(傳)인용사지는 태종 무열왕의 둘째 아들이자 문무왕의 동생인 김인문을 위한 원찰로 알려진 유적이다. 처음 김인문을 위해 절을 짓고 그의 귀국을 바라는 관음도량을 열었다가 그가 죽자 명복을 비는 미타도량으로 고친 것 같다. 절의 창건연대는 김인문의 생몰연대(628~694)를 고려할 때 늦어도 7세기 말엽으로 추정할 수 있다.

인용사의 위치에 대한 맨 처음 언급은 1916년 조선총독부 발행 경주지도에 처음 보이며 인왕사지로 표기되어 있었다. 1931년 당시 경주고적보존회 회원이었던 오사카 긴따로[大坂金太郞]는 인왕리에 있는 이 유적을 인용사지라 명명하였다. 그는 지명인 인왕리와 『삼국유사』 기록에 보이는 인용사간의 발음상의 유사성으로 기왕의 인왕사지를 인용사지로 추정하였다. 이후 연구자들은 그의 견해에 따라서 이곳을 인용사지로 추정하였으나, 사찰의 명칭을 전하는 유물이 발견되지 않았으므로 2016년에 사적 경주 인왕동 사지로 지정명칭을 바꾸었다.

2002년부터 2011년까지 발굴조사 결과에 의하면 삼국시대 말을 전후한 시기에 창건되어 통일신라 말까지 경영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고려·조선의 단편적 유구와 유물의 존재는 주변의 민간인 거주와 관련된 것으로 생각된다. 가람은 동·서 석탑지 2기를 중심으로 북쪽에 금당지, 좌우에 동·서회랑지가 배치되어 있다. 남쪽에 중문지와 장방형의 연지 2곳이 차례로 조영되어 있다. 그 밖에 유구중 주목할 만한 내용은 와적기단의 존재이다. 이곳의 와적 기단 구축은 당시 신라 왕경에서도 백제와 동일한 방법이 채택되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유적의 변천과정은 크게 세 단계로 구분된다. 1기는 와축기단건물지를 비롯한 7세기 전반경의 삼국시대 건물지가 분포하고 있으며 고식단판수막새가 공반된다. 2기는 통일 이후인 7세기 말엽에서 8세기 전반까지로 추정 목탑지 등 다수의 유구가 흩어져 분포하고 있다. 3기는 사찰건물지군이 조성된 시기로 8세기 후반경에 2기의 유구들을 일시에 폐기하고 사찰을 조영한 것으로 추정된다. 3기는 사찰의 확장과 관련하여 두 시기로 세분할 수 있다. 확장의 시기는 명확하지 않으나 기존 사역의 서편으로 20m 가량 확장하여 사역경계 담장과 부속건물 등을 새로이 축조하였다.

특징

사찰은 쌍탑일금당의 전형적인 통일신라 가람의 형태를 취하고 있으나 중문지에 해당하는 십자형 건물지의 독특한 구조, 전체 사찰건물지군의 조영방위를 기준으로 4도 가량 편서하는 서회랑의 조영방위, 남단의 장방형 연지 2곳 등 일반 사찰에서 보기 힘든 특징적인 점들이 보이고 있다.

의의와 평가

전인용사의 와적기단의 존재는 삼국시대 백제의 신라의 문화교류가 백제가 멸망한 통일신라 이후에도 지속되었음을 알 수 있다.

참고문헌

『삼국유사(三國遺事)』
『삼국사기(三國史記)』
『전인용사지발굴조사보고서』(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2013)
「新羅廢寺址の寺名推定について」(大坂金太郞, 『朝鮮』 197, 朝鮮總督府, 1931)
문화재청(www.cha.go.kr)
집필자
조경철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