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파문집 ()

목차
관련 정보
임파문집
임파문집
유교
문헌
조선 후기부터 일제강점기까지 생존한 학자, 조영규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68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부터 일제강점기까지 생존한 학자, 조영규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68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8권 2책. 영인본. 아들 용진(鏞珍)·용갑(鏞甲) 등이 편집한 것을 1968년 손자 필제(弼濟) 등이 간행하였다. 권두에 오진영(吳震泳)·정도현(鄭道鉉)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권태관(權泰瓘)의 발문이 있다. 고려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권1·2에 시 232수, 부(賦) 1편, 권3·4에 서(書) 169편, 권5·6에 잡저 6편, 서(序) 2편, 기(記) 4편, 발(跋) 3편, 명(銘) 3편, 잠(箴) 2편, 축(祝) 3편, 상량문 3편, 제문 38편, 애사 2편, 권7·8에 행장 2편, 전(傳) 2편, 부록으로 가장(家狀)·행장·묘갈명 각 1편, 만사 90수, 제문 27편, 기(記) 7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의 「백구사(白鷗詞)」에서는 혼란한 세상에 갈 곳이 없어 이곳에 왔는데 마음이 편안하니 백구와 함께 한평생을 마치겠다는 뜻을 나타냈으며, 「곡중송(谷中松)」에서는 명당(明堂)의 기둥이 못되고 깊은 산에서 부질없이 늙은 소나무이지만 청음(淸陰)·복령(茯苓) 등 많은 혜택을 주니 사람마다 칭송한다 하여 자신의 생애를 비유하여 읊고 있다.

잡저 중 「위학설시제생(爲學說示諸生)」에서는 당시 문장만을 숭상하는 경향을 지적, 학문의 근본이 심술(心術)을 밝히고 기질(氣質)을 변화시킴에 있음을 강조하였다.

그 밖에 교우관계를 논한 「우설(友說)」, 자손을 훈계하는 내용의 「시아배(示兒輩)」등이 있다.

관련 미디어 (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