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명 성욱(聖旭). 경상북도 칠곡 출신이다.
1912년 조선보병대(朝鮮步兵隊)에 입대, 상등병으로 근무하다가 1914년 제대한 뒤 비밀항일결사인 광복단(光復團)에 입단하였다.
1918년 이국필(李國弼)과 하바로프스크로 가서 그곳의 교포청년들을 규합, 군사훈련을 실시하였다. 1919년 귀국해 3·1운동 당시 각지로 순회하며 일제가 우리 민족에게 행한 학살·고문·만행의 자료를 수집 정리하였다.
그리고 그 진상을 세계에 알리기 위해 이 해 7월 인천에 입항한 미국 군함의 하사 김상철(金相哲)에게 이를 번역하여 각국에 배포할 것을 부탁하였다.
그 뒤 부산에서 조선일보지국을 경영하며 정세를 관망하던 중 1925년 중국 북경(北京)에서 국내 활동을 목적으로 많은 무기를 휴대하고 잠입한 이정기(李定基)와 접촉, 비밀결사를 조직하였다.
1927년 일제의 고관 암살과 중요시설 파괴를 목적으로 폭탄을 제조, 먼저 대구에서 거사하기로 하였다. 목표를 경상북도지사·경상북도경찰부·조선은행지점·식산은행지점의 네 곳으로 정하였다. 이 해 10월 18일 대구 덕흥여관에 투숙해 4개의 폭탄을 각각 나무 상자에 담아 포장한 뒤 여관 종업원 박노선(朴魯善)에게 배달하도록 하였다.
박노선은 4개의 상자를 제일 먼저조선은행 대구지점에 전달하였다. 그러나 상자에서 화약 냄새가 나는 것을 의심한 은행원이 도화선을 차단함으로써 실패하였다. 또 길 옆에 놓아 두었던 3개가 차례로 폭발하여 일본 경찰 수명에게 중상을 입히고 은행 건물 유리창이 파괴되었다.
대구에서 소기의 성과를 거두지 못하자 1928년 안동과 영천에서 다시 거사를 도모했지만 뜻을 이루지 못하였다. 일본 경찰의 경계망을 피해 일본으로 건너가 오사카[大阪]에 사는 동생 장의환(張義煥) 집에 은신하고 있었다.
1929년, 함께 활동하던 이정기가 다시 북경에서 잠입하여 활동하다가 잡힘으로써 은신처가 드러나 잡혔다. 1930년 대구지방법원에서 사형선고를 받고 대구복심법원에 상고, 역시 사형이 선고되자 앉아 있던 의자를 들어 재판장을 내리쳤다. 1930년 사형이 확정되어 서대문형무소에 수감 중 자결하였다고 전한다.
1962년 건국훈장 독립장이 추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