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각사 ()

목차
근대사
제도
조선 말기 외교통상사무를 맡아보던 관청.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말기 외교통상사무를 맡아보던 관청.
내용

개항 후 국내외의 급격한 정세변화에 대처하기 위하여 종래의 국가기구를 개편하여 1880년 음력 12월(1881년 양력 1월)에 만든 통리기무아문(統理機務衙門)은 12사(司)를 두어 사무를 분담, 관장하도록 하였는데 그 뒤 3차례에 걸쳐 개편을 보았다.

먼저 1882년 음력 11월 통리기무아문은 통리아문(統理衙門)과 통리내무아문(統理內務衙門)으로 분화되었다가, 그 해 음력 12월 다시 통리아문을 통리교섭통상사무아문(統理交涉通商事務衙門)으로 개칭하고, 통리내무아문을 통리군국사무아문(統理軍國事務衙門)으로 바꾸었다.

이때 통리군국사무아문에 이용(理用)·군무(軍務)·감공(監工)·전선(典選)·농상(農桑)·장내(掌內)·농상(農商)의 7사를 두어 군국의 기무를 비롯하여 내정일체를 관장하게 하고, 통리교섭통상사무아문에는 정각·장교(掌交)·부교(富敎)·우정(郵程)의 4사를 분치하여 외교통상 관계사무를 맡도록 하였다.

이 가운데 통리교섭통상사무아문의 독판(督辦)은 민영목(閔泳穆)이 맡았고, 그 아래 설치된 정각사의 협판(協辦)에는 묄렌도르프(Mollendorff, P.G.von), 참의(參議)에는 변원규(卞元圭), 주사(主事)에는 정헌시(鄭憲時)가 임명되었다.

이 양 아문의 설치를 통하여 개화파들이 대거 정치적 진출을 꾀하였다. 양 아문은 다시 1884년 음력 10월 통리군국사무아문을 의정부에 통합시켜 통리교섭통상사무아문만이 남았다가 이것이 다시 기구가 축소된 채 그 뒤 통리아문으로 갑오개혁 때까지 지속되었다.

참고문헌

『고종실록』
『승정원일기』
『한국사』16(국사편찬위원회, 1975)
『한국사강좌』Ⅴ-근대편-(이광린, 일조각, 1975)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