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남일구 ()

목차
관련 정보
정남일구(모형)
정남일구(모형)
과학기술
유물
조선 전기에 있었던 해시계.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전기에 있었던 해시계.
내용

세종 때에는 앙부일구를 비롯한 여러 가지 해시계가 제작되었는데 그 중에 비교적 복잡한 구조를 가진 것의 하나로 유물은 전하지 않지만 조선왕조실록 등에 기록상의 설명은 상세히 남아 있다.

이를 근거로 하여 영국의 니덤(Needham, J.) 등은 그 모형도를 그려보았고, 이것이 1988년한국표준연구소에서 놋쇠로 만들어놓은 모형이다.

설명에 의하면 이 해시계는 다른 해시계와 달리 지남침을 쓰지 않고도 남북의 방향을 정확하게 잡을 수 있게 되어 있기 때문에 남쪽을 가리켜주는 해시계라는 뜻으로 ‘정남일구’라는 이름이 붙었다.

받침대의 길이는 1척 2촌 5분이며, 받침대에는 수평을 잡기 위한 물그릇이 장치되어 있다. 남북으로는 기둥이 세워져 그 사이에 눈금을 그려 넣은 사유환(四遊環)·지평환(地平環) 등이 가설되었고, 눈으로 들여다볼 수 있도록 규형(窺衡)이 장치되었다.

크기로 보아 휴대용은 아니었고, 중국에서 이와 비슷한 해시계를 만들었다는 증거는 보이지 않는다. 해시계 가운데 가장 정밀한 종류의 것이다.

참고문헌

『세종실록(世宗實錄)』
The Hall of Heavenly Records(Needham, J.,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6)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