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 ()

목차
과학기술
개념
일제강점기 전국토의 지도와 지적도 작성시 사용한 토지의 넓이단위. 면적단위.
목차
정의
일제강점기 전국토의 지도와 지적도 작성시 사용한 토지의 넓이단위. 면적단위.
내용

이 단위는 경술국치 이후 1960년 미터법이 법으로 정식 발효되기까지 사용되었다. 이 단위는 일본이 우리나라 국토를 삼각측량(三角測量)하여 지적도(地籍圖)와 지도를 작성할 때 일본 곡척(曲尺)을 기준 척도로 하여 사용한 데에서 비롯된다.

즉, 정보는 한 변의 길이를 곡척 6척으로 한 정사각형의 넓이를 기준 면적으로 하고, 그것을 1평(坪) 또는 1보(步)라 하였다. 그 기준 면적의 3,000배를 1정(町) 또는 1정보라 하여 산지나 전토의 면적은 미터법이 실시되기 전까지는 모두 평이나 정보로 표시하였다.

일본 곡척의 길이는 30.303㎝였으므로 1평은 3.3058㎡, 1정보는 9,917.4㎡(3,000평)에 해당된다. 일본 『대보령집해(大寶令集解)』의 고려법(高麗法)에서는 고려(고구려)척 5척을 1보라 하고, 고려(고구려)척 5척은 대보령 대척(大尺) 6척과 같다 하였다.

또, 1870년 일본 대장성(大藏省)에서 밝힌 내용을 보면 대척은 곡척 1척 1촌 7푼 3리 여에 해당하고, 이 대척은 고려척에 해당한다고 하였으니, 대보령 이전에 일본의 1보는 고구려척 25평방척, 당대척 36평방척인 3.158㎡로 추측된다.

이와 같은 기준 면적이 계승되어 1874년에 제정된 길이 30.303㎝의 곡척으로 사방이 6척인 넓이를 1보 또는 1평으로 한 것이므로, 이때부터 1평은 3.3058㎡가 되었다. 이 단위가 1910년 국토 측량의 기준이 되었으므로, 이는 고구려에서 일본으로 건너갔다가 다시 우리나라로 변형되어 도입된 제도이다.

참고문헌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
『度量衡の歷史』(小泉袈裟勝, 東京, 1986)
『計量百年史』(日本計量協會, 1985)
집필자
박흥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누구나 자유로이 이용 가능하며,
    항목 내용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