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사공고 ()

목차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문신, 조석목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26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 조석목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26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2권 1책. 목판본. 1921년 후손 현구(顯九)가 편집, 『풍성세고(豊城世稿)』에 합간했으나, 1926년 자료를 보완해 별책으로 간행하였다. 권두에 유필영(柳必永)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현구·중구(重九) 등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

권1은 시 122수, 만사 32수, 소(疏) 5편, 서(書) 9편, 제문 5편, 서(序) 1편, 잡저 3편, 권2는 부록으로 만사 16수, 제문 4편, 묘갈명 1편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시는 기상이 웅장하고 호방하며, 시의는 거침이 없고 활달하며, 표현에서는 개괄적 묘사보다 사실에 치중하고 있다. 「강렵(江獵)」은 천렵으로 낚싯대에 고기의 중량이 실릴 때마다 마음속에 우러나는 쾌감이 잘 묘사된 작품이다. 「우음(偶吟)」과 「한중음(閑中吟)」은 자신의 포부를 토로하고, 그 사항들이 이루어져서 제세안민(濟世安民)의 혜택이 골고루 펴질 수 있기를 염원하는 내용이다.

소 가운데 「무본소(務本疏)」는 군왕으로서 왕도정치의 중요성을 인식해 나라를 다스리는 데 근본이 되는 인재의 등용, 양민(養民)의 중요성, 사학의 징토, 학문의 연구, 여론의 청취, 명분의 확립, 재용의 절제 등을 실천에 옮길 것을 주장하였다.

「사헌납소(辭獻納疏)」는 헌납을 사임하면서 소회를 밝힌 것이다. 상법의 엄정, 학문의 계속, 근신과 근검을 솔선수범하고, 양전(量田)으로 경계를 바르게 하며, 고관(考官)을 엄선해 과시의 부정을 막을 것 등을 건의하고 있다.

「양전론(量田論)」은 농민이 안심하고 농업에 종사하게 하는 중요한 방법으로 부세(賦稅)를 들고, 부세가 공평하게 부과되기 위해서는 그 기본이 되는 토지의 경계선이 정확해야 한다고 주장한 내용이다.

이 밖에 지방의 관장들이 지켜야 할 일들을 적은 「시정후성론(施政後省論)」, 삼정의 중요성을 강조한 「삼정피폐론(三政疲弊論)」이 있다.

집필자
권오호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