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유피난기 ()

조선시대사
문헌
조선후기 학자 정호인이 정유재란 때 피난을 가다가 일본군에게 붙잡혀 일본에서 작성한 일기.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후기 학자 정호인이 정유재란 때 피난을 가다가 일본군에게 붙잡혀 일본에서 작성한 일기.
내용

필사본. 1597년(선조 30) 정유재란 때 전라남도 함평에 살던 저자가 피난을 가다가 일본군에게 붙잡혀 일본에 건너가서 쓴 일기로, 그 해 8월 12일부터 이듬해 7월 23일까지의 기록이다.

붙잡힌 날은 9월 26일이었는데 같이 피난가던 할머니·어머니·처는 물에 뛰어들어 자결하고, 정호인과 동생 호례(好禮), 그리고 족숙 희득(希得)·경득(慶得) 형제만 잡혀갔다. 당시 정호인의 나이는 18세였다. 일본에 잡혀간 그들은 온갖 고생을 하면서도 꿋꿋한 기상을 보였으며, 일본인의 문집을 베껴 팔아 겨우 연명하였다.

원본은 한백지(韓白紙) 6절본(길이 23㎝, 너비 21㎝)에 모필 순한문체로 정서·초서가 섞여 있다. 좌우 한단은 여러 장이 마멸되어 판독하기 어렵다. 일기는 72장이며, 부록으로 일본의 66주(州), 8도(道), 639군(郡), 2도(島)와 아울러 일본 내정(內政)의 기록이 첨부되어 있다.

이것은 그가 귀국한 지 16년 만인 1613년(광해군 5)에 쓴 것이다. 이 때 같이 잡혀간 족숙들의 기록으로는 희득의 『해상록(海上錄)』, 경득의 『만사록(萬死錄)』이 전해오며, 아우 호례의 일기도 있었다고 전해진다. 이 세 책의 일기는 다른 부분도 없지 않으나 같은 장소에서 생활한 기록이기 때문에 대동소이하며 날짜도 비슷하다.

의의와 평가

이 밖에도 다른 일기들이 남아 있으나, 이 책은 그 초고가 남아 있으며 내용도 자세해 정유재란의 사료로서뿐만 아니라 다른 일기에 대한 저본(底本)이 되기도 한다. 피난 당시 자결한 할머니 등과 희득 형제, 호인 형제를 위해 팔렬정각(八烈旌閣)이 함평군 월야면에 세워졌다.

참고문헌

『만사록(萬死錄)』
『정유피난기』(진주정씨월촌공종친회, 1986)
「정호인 정유피난기」(이을호, 『호남문화』5, 전남대학교호남문화연구소, 1974)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