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천익 ()

산업
인물
고려후기 문익점이 가져온 목화를 재배 보급시킨 학자. 독농가.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미상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고려후기 문익점이 가져온 목화를 재배 보급시킨 학자. 독농가.
생애 및 활동사항

1362년(공민왕 11) 승보시(升補試)에 합격하여 생원자격을 얻었으나 관직으로 이름을 남기지는 않았다. 사위 문익점(文益漸)이 원나라에 서장관으로 갔다가 귀국하면서 몰래 가져온 목화씨를 심어 3년간의 노력 끝에 재배법을 터득하여 종자를 널리 보급하였다.

또 씨를 뽑는 씨아[取子車]와 실을 뽑는 물레[繅絲車]를 모르던 차 때마침 집에 머물게 된 호승(胡僧)에게 물어 이를 고안하여 목화를 직조의 원료로 쓰는 법을 열어놓았다.

일설에는 아들 정문래(鄭文來)가 제사법(製絲法)을 고안하였고, 손자 정문영(鄭文英)이 면포 짜는 법을 알아냈다고도 전한다. 문익점과 함께 목화를 처음 심어 번식시킨 경상남도 산청군 단성면 사월리에는 산청 목면시배 유지가 1963년 사적으로 지정되어 남아 있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농림수산고문헌비요』(김영진,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98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