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해륜 ()

근대사
인물
개항기 때, 형조판서, 좌우참찬, 한성부판윤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치종(稚宗)
시호
문정(文貞)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826년(순조 26)
사망 연도
미상
본관
연일(延日)
출생지
충청북도 충주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개항기 때, 형조판서, 좌우참찬, 한성부판윤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연일(延日). 자는 치종(稚宗). 충청북도 충주 출신. 정도(鄭淘)의 아들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858년(철종 9) 봉사(奉事)로서 정시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 이듬해 부교리가 되었고, 1861년에는 훈련원정으로 남묘전작례(南廟奠酌禮) 때 대축(大祝)으로 참가하여 가자(加資 : 품계를 올려 줌)되었다.

1866년(고종 3) 이조참의를 거쳐 대사간을 여러 차례 역임하였고, 1876년 용산 저자도(楮子島)에서 기우제를 지낼 때에는 사소한 잘못으로 인하여 파직되었다. 그러나 이듬해 다시 성균관대사성이 되었다가 황해도관찰사에 제수되어 외직을 맡았다.

1879년 관찰사 재직 때 평산(平山)지방의 화적을 진압하고 화적 체포에 공을 세운 포교의 포상을 바라는 장계를 올렸다. 1881년 대사헌으로서 척사의 소를 올린 홍재학(洪在鶴)을 엄중 조처하자는 양사의 연차(聯箚)에 참여하였다. 그뒤 홍문관·예문관의 제학에 몇차례 임명되었고 1885년에는 동지사의 정사(正使)로 청나라에 다녀왔다.

이 해 병조판서가 된 이후 공조·예조·이조·형조 등의 판서를 여러 차례 중임하였으며, 의정부의 좌우참찬도 역임하였다. 1890년 춘천부유수에 제수되었지만 주로 내직의 주요 요직을 지냈다. 그 밖에 1891년에 한성부판윤도 역임하였으며, 1898년 장례원경(掌禮院卿)에 임명되고 칙임관3등이 주어졌다. 1902년 궁내부특진관으로 칙임관2등이 되었다. 시호는 문정(文貞)이다.

참고문헌

『철종실록(哲宗實錄)』
『고종실록(高宗實錄)』
『국조방목(國朝榜目)』
『청선고(淸選考)』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