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관은 압해(押海). 자는 희율(希栗), 호는 금역(琴易). 정옥형(丁玉亨)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정응두(丁應斗)이고, 아버지는 정윤복(丁胤福)이며, 어머니는 사헌부감찰 한경상(韓景祥)의 딸이다.
1602년(선조 35) 별시문과에 을과로 급제하고, 1607년 회답사 여우길(呂祐吉) 일행의 일본사행에 서장관으로 다녀왔다. 1613년(광해군 5) 사헌부지평 때 영창대군을 죄주자는 주장을 맨 처음 한 인물로 알려져 있다.
1614년 군자감정으로 있을 때 정온(鄭薀)이 영창대군(永昌大君)의 처형에 대하여 부당함을 상소하였다가 논죄되자, 정온의 죄를 가벼이해줄 것을 상소하였다가 파직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