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관은 광주(光州). 호는 손암(巽菴). 화가인 선(敾)의 손자로, 가업(家業)을 이어 정선의 진경산수화풍(眞景山水畫風)을 계승하였다.
행적이 뚜렷이 밝혀져 있지 않으나, 현존하는 작품은 정선의 화법(畫法)을 답습하였음이 현저하게 눈에 띄며, 정선의 작품과 구분하기 어려운 것도 있다.
그의 개성 있는 필치가 비교적 부각된 대표작으로는 「노적만취도(露積滿翠圖)」(개인 소장)가 손꼽히는데, 대담한 구도와 활달한 수묵(水墨)의 사용이 돋보이는 그림이다.
그 밖에 「양주송추도(楊州松楸圖)」(개인 소장)·「동교행락도(東郊行樂圖)」(개인 소장)·「동래태종대도(東萊太宗臺圖)」(국립중앙박물관 소장)·「대구달성도(大邱達城圖)」(영남대학교박물관 소장) 등의 작품은 정선의 화법을 충실히 전수한 수준에서 머물고 있다.
그리고 「경화문답도(經畫問答圖)」가 포함된 화첩(畫帖)의 「문암도(門岩圖)」·「청풍계도(淸風溪圖)」(이상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등 서울과 금강산을 그린 6점의 진경산수화가 전하는데, 이는 정선의 그림을 임모(臨摸)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