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월당대사집 ()

제월당집
제월당집
불교
문헌
조선시대 때의 승려, 순명 경헌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637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시대 때의 승려, 순명 경헌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637년에 간행한 시문집.
개설

조선 중기의 승려였던 순명 경헌의 시문집으로서, 1637년(인조 15)에 전라도 장흥 지제산(支提山: 天冠山) 천관사(天冠寺)에서 간행되었다. 시 91수와 문 19편이 수록되어 있다.

편찬/발간 경위

1637년에 밀언(密彦)이 쓴 발문에 의하면, 흩어져 있던 경헌의 글들을 모으고 들은 바를 기록하여 간행하게 되었다고 한다. 권상의 끝에는 부도와 영당을 건립할 때의 시주질이 수록되어 있다.

서지적 사항

2권 1책. 『한국불교전서』 제8책에 수록되어 있다.

내용

순명 경헌은 속성이 조씨(曺氏)이며, 당호는 제월당(霽月堂)이다. 15세에 천관사 옥주(玉珠)대사에게 출가하였으며, 후에 청허 휴정(淸虛休靜)의 가르침을 받았다.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의승병으로 참전하기도 하였으며, 1632년(인조 10) 치악산의 영은사(靈隱寺)에서 입적하였다.

『 제월당대사집(霽月堂大師集)』 상권에는 오언고시 1편, 오언절구 11편 12수, 오언율시 6편, 칠언절구 39편 40수, 선게잡저(禪偈雜著) 18편 22수, 선어(禪語) 10편이 실려 있다. 하권에는 소(疏)·기(記)·서(書) 등의 문 19편이 수록되어 있다. 선게잡저와 선어를 따로 분류하고 있는 것이 특징인데, 「시밀운대사(示密雲大師)」를 제외하고는 모두 시이다.

시는 내용에 따라 증시(贈詩)·기행시(紀行詩)·화답시(和答詩) 등으로 분류할 수 있는데, 승려들에게 준 증시가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증시로는 「증홍제소사(贈弘濟小師)」·「증행각사미(贈行脚沙彌)」·「시설현사미(示雪玄沙彌)」·「시의천선자(示義天禪子)」 등이 있다. 또 기행시로는 「여중음(旅中吟)」·「유청학동(遊靑鶴洞)」·「재도금강산(再到金剛山)」 등이 있으며, 화답시로는 「새덕민선자구어(賽德敏禪子求語)」·「새준선덕구어(賽俊禪德求語)」·「새신도인구어(賽信道人求語)」 등이 있다. 또한 경헌의 「임종게(臨終偈)」도 수록되어 있다.

하권에 실린 문에도 승려들에게 보낸 편지가 많은데, 「상수암장실서(上水菴丈室書)」·「답언대사서(答彦大師書)」·「기익대사(寄益大師)」·「증징선서(贈澄禪書)」 등이 있다. 4편의 소문(疏文) 가운데 「천부소(薦父疏)」·「천매소(薦姝疏)」에서는 부모와 누이에 대한 대사의 애틋한 감정을 엿볼 수 있다. 이밖에도 「발라경찬소(鈸螺慶讃疏)」·「금강산불지암기(金剛山佛地庵記)」·「보개산석대암중수모권문(寶盖山石臺庵重修募勸文)」을 비롯하여, 1637년에 쓴 회백(懷白)의 서문, 1612년(광해군 4)에 여여자(如如子)가 지은 청허대사행적(淸虛大師行蹟), 1635년에 홍택(洪澤)이 찬술한 제월당대사행적(霽月堂大師行蹟)이 실려 있다.

의의와 평가

『제월당집』은 선게와 선어를 시에 포함시키지 않고 따로 분류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선게와 선어는 주로 승려에게 준 것으로서, 선어는 일종의 법어이나 시의 형태를 띠고 있다. 고려 후기 선어록의 형태를 비교적 많이 유지하고 있다.

참고문헌

『한국불교전서편람』(불교기록문화유산아카이브사업단 편, 동국대학교출판부, 2015, p.228)
『한국불교문학의 연구』(이진오, 민족사, 1997)
『부휴당집·제월당집·환성집』(동국역경원 역, 동국대학교 출판부, 1992)
『한국불교전서』제8책(동국대학교 한국불교전서편찬위원회, 동국대학교 출판부, 1989)
「「제월당대사비」로 본 경헌의 생애와 활동」(이규리, 『사학연구』 123, 한국사학회, 2016)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정영식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