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관은 한양(漢陽). 자는 계언(季彦), 호는 은성(隱星). 조헌(趙憲)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조덕원(趙德原)이고, 아버지는 조공근(趙公瑾)이며, 어머니는 임필형(任弼亨)의 딸이다.
1624년(인조 2) 식년문과에 갑과로 등제, 1628년지평에 서임되었다. 이어 사간원정언·홍문관수찬을 역임하였다. 1634년『광해군일기』의 찬수(纂修)에 참여하였다.
2년 후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척화를 부르짖고 홍익한(洪翼漢) 등 삼학사(三學士)와 같이 처벌해줄 것을 주장하자 인조는 교리였던 그를 특명으로 평안도사에 임명하였으니, 조정의 신하들이 척화를 주장하는 사람을 서도에 두는 것이 옳지 않다 하여 충청도사로 전임하게 하였다.
그러나 청나라의 힐책으로 한때 귀양보내지기도 하였다. 1647년 세자시강원보덕에 재임중 『서연비람(書筵備覽)』을 저술하여 왕에게 바치니 왕이 호피(虎皮)를 하사하여 포상하였다. 『인조실록(仁祖實錄)』을 찬수할 때 그는 아들 조사기(趙嗣基)와 더불어 춘추관편수관으로 동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