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개척사 ()

목차
근대사
단체
1928년 경기도 수원에서 조직되었던 독립운동단체.
이칭
이칭
계림농흥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1928년 경기도 수원에서 조직되었던 독립운동단체.
내용

수원고등농림학교 재학생인 우종휘(禹鍾徽)·김찬도(金燦道)·권영선(權永善) 등이 중심이 되어 1926년 농촌개발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던 계림흥농사(鷄林興農社)를 확대, 개편하여 1928년 항일독립운동의 중심기관인 조선개척사를 설립하였다.

이 단체는 일제의 탄압을 피하기 위하여 표면상 합법단체를 가장한 항일비밀결사로, 국내외에서 활동하고 있는 농학도들을 결속하여 전국적으로 협동농장을 건설하고 농업기술향상, 농촌문화 및 경제향상을 꾀함으로써 이상적인 농촌건설을 표방하고 있다.

그렇지만 우리 민족의 실력향상을 꾀하여 항일운동의 기반을 조성하며 학생들에게 항일의식을 고취하고 조직을 강화시켜 일단 유사시에 봉기할 것을 결의하였다.

그러나 1928년 9월 동 결사가 일본경찰에게 발각됨으로써 주동자 11명이 퇴학처분을 받고 기소되었다. 이에 항의하여 동교 한국인 재학생 44명이 자진 퇴학원을 제출함으로써 사건이 확대되었다.

그 뒤 주동자로 김찬도·권영선만 재판에 회부되었으며 다른 사람은 면소되었다. 수원고등농림학교의 조선개척사 사건은 당시 국내에서 조직되었던 전문학교급의 비밀결사로서는 최대의 규모였다.

참고문헌

『항일학생민족운동사』(정세현, 일지사, 1975)
『한국독립사』(김승학, 독립문화사, 1965)
『동아일보(1930.2.21)』
집필자
신재홍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