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독립선언서 ()

목차
근대사
문헌
1919년 3월 노령에서 조선국민회 이름으로 한국의 독립을 선포한 선언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1919년 3월 노령에서 조선국민회 이름으로 한국의 독립을 선포한 선언서.
내용

급변하는 세계대세에 대처하여 다방면으로 독립운동을 벌이던 노령방면의 동포들은 1919년 2월 대내외 활동상 전국가 전민족을 대표하는 의미의 명칭을 가진 기구의 필요에 따라 기존 한족회(韓族會) 중앙총회를 대한국민의회(大韓國民議會)로 개편, 노령 니콜리스크에서 「조선독립선언서」를 발표하였다.

조선국민회 회장 문창범(文昌範), 부회장 김철훈(金喆薰), 서기 오창환(吳昌煥)의 이름으로 된 이 선언서는 국내와 일본 또는 만주에서 있었던 그 어느 독립선언서보다도 장문으로 되어 있다.

그 내용에 있어서는 일본의 동양에 있어서의 군국주의적 침략행위 및 한국에 있어서의 강탈·횡포를 규탄하고 반성을 촉구함과 아울러, 인도·정의 및 평등·동포주의·민족자결주의가 선명되는 시기에 있어서 연합우방국가들은 반드시 한국을 일제의 압제현상으로부터 구출하여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또 침략주의자들의 종교압박과 식민지 교육 및 암살음모 조작 등을 열거하고 동포들은 독립과 자유, 평화와 정의를 위하여 용감히 싸울 것을 다짐하는 한편, “인류최선의 이상을 위하여 압제자 및 포학자에 대하여는 용감히 싸우고자 한다.”하여 독립쟁취의 방법으로 폭력적 대항을 제시하고 있다.

참고문헌

『한국학』28(영신아카데미한국학연구소, 1983)
『한국근대사론』Ⅱ(윤병석·신용하·안병직 편, 지식산업사, 1977)
『항일선언·창의문화』(유광렬, 서문당, 1975)
『독립운동사』3·4(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197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