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재응 ()

근대사
인물
조선 후기에, 이조참판, 전라도관찰사, 홍문관제학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성여(成汝)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803년(순조 3)
사망 연도
미상
본관
임천(林川)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후기에, 이조참판, 전라도관찰사, 홍문관제학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임천(林川). 자는 성여(成汝). 조학묵(趙學默)의 아들로, 조학영(趙學永)에게 입양되었다.

생애 및 활동사항

1847년(헌종 13) 유학(幼學)으로서 정시문과에 병과로 급제, 1853년(철종 4)에는 종묘친제 때 부응교로 참여하여 가자(加資 : 품계를 올려 줌)되었고, 1862년 이조참판에 올랐다.

1864년(고종 1) 경기도관찰사에 임명되어 세납물의 원활하고 안전한 수송에 관심을 기울였고, 장단부의 대동세·전세를 전(錢)으로 대납할 수 있도록 요청하였으며, 탐학하는 수령을 치죄하기도 하였다.

또, 경기도의 군사적 중요성을 강조하여 덕적도(德積島)와 주문도(注文島)에 설치된 자벽과(自辟窠) 가운데 1과를 특별히 감영에 속하게 하여 변장(邊將)을 자벽할 수 있게 함으로써 방위를 강화하고자 소청하여 왕으로부터 허락을 받았다.

이듬해 전라도관찰사로 전임된 뒤 풍우의 피해가 전라도 전역에 극심하자 재난을 당한 각 읍을 돌아다니며 위무하고 구휼하였다. 1867년에는 홍문관제학에 임명되어 재직중 전라도암행어사 윤자승(尹滋承)이 전 감사인 조재응의 실정을 지적하여 치죄할 것을 요구하는 서계(書啓)를 올림에 따라 중화부로 유배되었다. 그러나 곧 풀려나 홍문관제학에 임명되었다.

참고문헌

『헌종실록(憲宗實錄)』
『철종실록(哲宗實錄)』
『고종실록(高宗實錄)』
『국조방목(國朝榜目)』
『청선고(淸選考)』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