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안남도 강서 출신. 1919년 대동군 금제면 원장리 장날인 3월 4일을 기하여, 최능현(崔能賢)·송현근(宋賢根) 등과 함께 강서군 사천만세운동을 주동하였다.
반석면 반육리에 있던 반석교회의 장로로 1919년 2월 28일 평양에 갔다가, 3월 1일 그곳에서 거행된 만세운동에 참여한 뒤, 고향에서 만세운동을 일으키기 위해 독립선언서를 얻어 가지고 급히 돌아왔다.
고향으로 돌아오는 길에 원장에 들러 그곳 교회지도자 윤상열(尹相悅)·고지형(高志亨)·차현구(車賢九) 등을 만나 평양의 만세운동에 대해 설명하고, 이튿날에는 반석교회 지도자 최능현·백이옥(白履玉)·송현근 등을 만나 반석·원장 두 교회를 중심으로, 3월 4일을 기해 원장교회의 합성학교(合成學校)에서 만세운동을 전개하기로 결의하였다.
이에 태극기를 제작하는 등 사전준비를 하였는데, 일부가 발각되면서 사천시장(沙川市場, 일명 모락장)교회 간부 10여 명이 헌병분견소로 강제 연행되는 사태가 전개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만세운동은 예정대로 거행되어, 3월 4일 독립선언식을 마치고 시위군중 모두 태극기를 손에 들고 원장시장으로 행진하였는데, 시위군중은 3,000여 명으로 늘어났다. 이때 사천시장의 시위운동을 준비하던 동지들이 강제연행되었다는 사실이 알려지자, 이들을 구출하기 위해 시위군중들은 25리 떨어져 있는 사천시장으로 행진하였다.
이때 반석면장 김종화(金宗化)가 거사계획을 밀고하여 일본헌병들이 모락장 입구에 매복하고 있다는 사실이 전해졌으나, 시위군중은 이에 위축되지 않고 계속 독립만세를 외치며 행진하여 사천시장 입구로 들어갔다.
이때 매복하고 있던 일본헌병들이 발포하여 많은 사상자가 발생하였으나, 시위군중은 청년들과 함께 투석으로 대항하며 계속 전진하였다. 사태가 불리하다고 여긴 일본 헌병분견소장 사토[佐藤] 상등병과 보조원 3명이 재빨리 도망가려 하였으나, 분노한 시위군중은 이들을 붙잡아 살해하고, 구금중이던 동지 전원을 구출하였다.
사천시장 진군의 목적은 일단 성공하였으나, 일본헌병의 무차별 사격으로 13명이 순국하고, 40여 명이 중경상을 입었다. 또한 많은 사람들이 검거되어 사형과 장기복역의 중형을 선고받았다.
그런데 이때 조진탁은 총상을 입었음에도 불구하고 순천·원산·통천·강릉 등지로 피신하였으며, 궐석재판에서 사형선고를 받아 전국에 지명수배를 당하였다. 결국 1921년 2월 9일 원산역에서 일본경찰에 붙잡혀 평양으로 압송되어, 이듬해 10월 교수대에서 순국하였다.
1963년 건국훈장 독립장이 추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