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러한 우리 나라 토산특산주는 중국인들에게 선호되어 많은 양이 교역되었음이 문헌에 전하여지고 있다.
조하주는 ≪삼국사기≫에 의하면 723년(성덕왕 22)에 어아주(魚牙紬)와 같이 당나라에 보낸 사실이 기록되어 있다. 중국측의 ≪책부원구 冊府元龜≫·≪당회요 唐會要≫ 등에도 748년(경덕왕 7)과 773년(혜공왕 9)에 조하주가 통일신라로부터 당나라에 보내온 사실이 기록되어 있다.
≪삼국사기≫에는 869년(경문왕 9)에 조하금(朝霞錦)을 당나라에 보낸 사실이 기록되어 있다. 이 조하금과 조하주가 어떻게 제직된 직물인지에 대한 우리 나라의 문헌기록은 남아 있지 않다. 다만, 일본에는 텐지왕(天智王)과 텐무왕(天武王) 때 신라에서 하금(霞錦)을 보낸 기록이 있다.
이 하금에 대하여 일본측에서 해석하기를 운간조(繧0x9555調)의 간도(間道)와 같은 것이라고 하고 있어 무늬가 채색된 염문(染紋)의 직물임이 나타나고 있다. 하금과 조하금은 같은 직물에 대한 명명이므로 곧 조하금은 염문의 직물이었던 것이다. 일본에서는 ‘태자간도(太子間道)’라는 이름의 쇼토쿠태자(聖德太子) 소용이었던 직물편을 하금의 고대유물로 보고 있다.
태자간도는 붉은색이 주가 된 평직의 이카트(Ikat)직물이다. ≪사원 辭源≫에서는 조하를 “육기의 하나이며, 일출의 적황기이다(六氣之一 日始欲出赤黃氣也). ”라고 해석하고 있으니 곧 태자간도는 조하금의 조형염직물이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종류의 염직물이 그 바탕이 평직인 까닭에 유형에 따라서 조하주도 되고 조하금도 되었던 것으로 본다.
통일신라의 직관에는 조하방(朝霞房)과 소방전(蘇房典)·홍전(紅典)이 있었는데 조하방에서 소방목·홍화 등의 염료로 조하주·조하금을 염색하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이들 염직물은 중국의 주(紬)나 금(錦)과는 구별되는 토속특산직물이었기 때문에 당나라 사람들에게 선호되어 150년 가까이 당나라에 보내졌던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