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열 ()

고려시대사
인물
고려 후기에, 판비서성사, 한림학사, 판도판서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이화(而和)
시호
문절(文節)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1287년(충렬왕 13)
본관
능성(綾城)
주요 관직
병부낭중(兵部?中)|지도첨의부사(知都僉議府事)|판도판서(版圖判書)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고려 후기에, 판비서성사, 한림학사, 판도판서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능성(綾城). 자는 이화(而和). 은사과(恩賜科)에 등제하여 현리(縣吏)를 지낸 주여경(朱餘慶)의 아들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고종 때 문과에 급제하여 남원판관(南原判官)이 되고, 국학학록(國學學錄) · 감찰어사(監察御史) 등을 거쳐 나주(羅州) · 정주(靜州) · 승천부(昇天府) · 장흥부(長興府) 등의 수령이 되어 정치를 잘하였다.

원종 때에는 병부낭중(兵部郎中)으로서 충청 · 전라 · 경상 3도의 안렴사(安廉使)를 역임하며 위명(威名)을 떨쳤으며 백성들도 경외하였다고 한다.

예부시랑(禮部侍郎)이 되었으나 당시의 권신 임연(林衍)에게 거슬려 1269년(원종 10)에 해도(海島)에 유배되었다가 이듬해 임연이 죽자 동경유수(東京留守)가 되었다.

예빈경(禮賓卿) · 간의대부(諫議大夫) · 판소부 동궁시강학사(判少府東宮侍講學士)를 역임, 원나라가 일본정벌을 준비할 때 경상도안무사로 다녀와서 판비서성사(判秘書省事)로 승진하였으며, 충렬왕이 즉위하게 되자 주열의 재명을 듣고 중용하였다.

한림학사에 제수하고 삼사사(三司使)로서 경상도계점사(慶尙道計點事)로 나가 유망민을 초집하였다. 판도판서(版圖判書) · 부지밀직 전법판서(副知密直典法判書)에 나아갔으며 지도첨의부사(知都僉議府事)로 치사(致仕)하였다.

문장과 글씨에 능하였고, 성품이 활달하였으며, 높은 자리에 있으면서도 근검하였고 어느 편에도 기울지 않는 공평함이 있었다고 한다. 시호는 문절(文節)이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원사(元史)』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