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계집 ()

목차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학자, 손석필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14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손석필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14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2권 1책. 목활자본. 1914년 6대손 용수(龍秀)가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손창현(孫昌鉉)과 최기술(崔耆述)의 서문이, 권말에 용수와 종현(宗鉉)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과 연세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권1에 시 25수, 서(書) 4편, 제문 1편, 권2에 부록으로 유사·행장·묘갈명 각 1편, 만장(挽章) 5수, 제문 1편, 제현서독(諸賢書牘) 1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는 호방하여 거침이 없고, 묘사에 뛰어난 것이 특색으로 성당(盛唐)의 풍류와 운치의 멋이 있다는 평을 듣는다.

「숙백운암(宿白雲庵)」에서는 주위의 적적함과 뛰어난 경치를 잘 묘사하였다. 「우후즉사(雨後卽事)」 5수에서는 농촌의 풍경을 나타냈는데, 특히 비온 뒤 농가의 분주한 모양, 즉 주부나 어린이까지도 농가의 소득을 위해 뛰어다니는 모습과 곡식이 자라나는 모양들을 잘 표현하고 있다.

「여이하경김자숙술회(與李夏卿金子叔述懷)」 2수에는 술을 마시면서 학문과 인생을 논하며 시세를 따르는 세태의 경박함과 변천하는 세월에 따른 인생의 무상함을 담고 있다.

서(書)의 「답정석우(答鄭碩佑)」에서는 밤에 잠이 안 올 때에는 『중용』과 『대학』·『성학도 聖學圖』를 읽는다고 밝히고, 인(仁)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적고 있다.

이 밖에 학문하는 방법과 과정을 설명한 「여이안재덕현(與李安齋德玄)」과 아우 주경의 죽음을 애도한 「제사제진사주경문(祭舍弟進士周卿文)」이 있다.

집필자
권오호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