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유교
개념
슬기 · 지혜 등의 의미로, 시비를 판별하는 일종의 천부적 능력 또는 인식 능력인 지(知)로 외물(外物)과 접해 인식된 지식을 가리키는 유교용어.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슬기 · 지혜 등의 의미로, 시비를 판별하는 일종의 천부적 능력 또는 인식 능력인 지(知)로 외물(外物)과 접해 인식된 지식을 가리키는 유교용어.
내용

일반적으로 지(知)와 통용하고 있다. 그러나 인식론·심성론상으로는 지(智)와 지(知)는 구별해 쓴다. 맹자(孟子)는 “시비지심(是非之心)은 지(智)”라 했고, 순자(荀子)는 “아는 소이(所以)가 사람에 있는 것이 지(知)이고, 지에 합하는 것이 있는 것을 지(智)라 한다.”고 하였다.

맹자에 의하면 지(智)는 시비를 판별하는 일종의 천부적 능력이며, 순자에 따르면 인식 능력인 지(知)로써 외물(外物)과 접해 인식된 지식을 의미한다. 그러나 정통 유학에서는 지(智)를 앎의 근원(知之理)으로 본다. 주희(朱熹)는 지를 시비를 분별하는 도리라 했고, 조선조 유학자 한원진(韓元震)은 ‘별지리 심지각(別之理 心之覺)’이라고 주석하였다.

지(智)는 오성(五性), 즉 인의예지신(仁義禮智信) 가운데 하나로서 하늘로부터 부여 받은 성이다. 여기에는 정의(情意)·조작(造作)·계탁(計度)이 없는 적연부동(寂然不動)한 상태이다.

지의 속성은 건순(健順)으로 말하면 순에 속하고, 원형이정(元亨利貞 : 역학에서 말하는 천도의 네 원리, ‘원’은 봄, ‘형’은 여름, ‘이’는 가을, ‘정’은 겨울을 뜻함.)으로 말하면 정에 속하며, 음양으로 말하면 음에, 오행으로 말하면 물[水], 사계로 말하면 겨울[冬]에 속한다.

이로써 본다면, 지는 순하면서 곧고 고요하면서 냉정한 속성임을 알 수 있다. 김창협(金昌協)은 지(智)와 지(知)를 구별해 “지(智)는 지(知)가 갖추고 있는 이(理)이고, 지(知)는 지(智)를 담고 있는 그릇”이라 하고, “지(智)는 성(性)으로서 지극히 정미(精微)해 볼 수가 없는 것이고, 지(知)는 심(心)으로서 지극히 미묘해 헤아릴 수가 없는 것”이라고 하였다.

그러한 지(智)가 아니면 지(知)는 근원이 없게 되고, 또 지(知)가 아니면 지(智)는 운용될 수가 없는 것이 지(智)와 지(知)의 구별이다. 이 둘은 서로 떨어질 수도 없고, 서로 섞일 수도 없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지(智)는 지(知)의 이(理)이고, 지(知)는 지(智)의 용(用)임을 알 수 있다.

중국에서는 지(智)와 지(知)를 구별 없이 통용하고 있으나 우리 나라에서는 엄격하게 구별해 사용하고 있다. 지식은 인식 작용의 결과로 얻은 앎이기 때문에 우리 나라에서는 ‘지식(知識)’이라 하는 반면 중국에서는 ‘지식(智識)’으로도 사용한다.

참고문헌

『성리대전(性理大全)』
『경의기문록(經義記聞錄)』
『동유경설(東儒經說)』
집필자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