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륜도 ()

목차
도교
문헌
고유상이 윤도(輪圖)를 종이에 인쇄한 문서. 윤도.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고유상이 윤도(輪圖)를 종이에 인쇄한 문서. 윤도.
내용

윤도는 원래 풍수지리가가 참고하기 편리하도록 항용하는 중요사항을 지남철의 주위에 기록하여 사용하여 왔으나, 이것을 인쇄하기는 고유상이 처음이다. 1매의 도본을 목판으로 찍은 것으로 중앙에서 외변까지 24개의 원을 그려서 풍수가가 꼭 알아야 할 24개 항목을 기록하였다.

중앙을 1층, 외변을 24층이라 표기하고 1층에서부터 태극·팔괘·황천팔요(黃泉八曜)·입택문로(入宅門路)·선천십이지(先天十二支)·봉침이십사산(縫針二十四山)·정침이십사산(正針二十四山)·천성(天星)·태골룡(胎骨龍)·천산(穿山)·삼백사십분금(三百四十分金)·투지(透地)·절후·기갑자법(起甲子法)·관금급투지괘(管禽及透地卦)·팔문·녹마귀(祿馬貴)·삼기(三奇)·육친(六親)·봉침백이십분금·정침백이십분금·삼백육십도·도수오행(度宿五行)·개희도이십팔수(開禧度二十八宿)의 순으로 되어 있다.

이 24개 항목은 풍수지리가의 기본 항목으로 비록 초보자라 하더라도 기본만은 알고 있어야 하는 것이므로 항간에서 중요시해 왔다.

복잡한 항목을 가장 알기 쉽게 그림을 그려 보여 준 것이 윤도이며, 종이가 사각인 데 반하여 하늘의 원형을 상징한 둥근 윤도에 240분금의 길흉표와 360도의 길흉표를 부호로 표시한 것이 특징이다.

분금의 길흉표의 부호는 길일 때 ○표, 반은 흉하고 반은 길할 때 ―표를 사용하였고, 360도에서는 관살표(關煞標)를 ×, 차착표(差錯標)를 1, 소지표(小止標)를 2, 대지표(大止標)를 ○, 흉살표(凶煞標)를 ○로 표시하여 이용자의 편의를 도왔다.

「녹마귀」는 천록(天祿)과 역마(驛馬)와 귀인(貴人)을 합하여 표기한 것이며, 「상기」는 천상(天上)·지상(地上)·인중(人中)으로 구분되고, 「육친」은 오행의 소속에 따라 분류한 친분이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참고문헌

『천기대요(天機大要)』
집필자
권오호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