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분권 1책. 목활자본. 1917년 아들 윤묵(允默)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송지헌(宋之憲)의 서문, 권말에 윤묵의 발문이 있다. 연세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시 16수, 서(書) 2편, 잡저 3편, 서(序) 1편, 부록으로 유상(遺像) 1점, 찬시 147수, 시 1수, 만사 8수, 정려운(旌閭韻) 19수, 상언(上言) 1편, 서 2편, 기(記) 4편, 장서 목록 1편, 설(說) 2편, 서(書) 1편, 상량문 1편, 문(文) 5편, 녹(錄) 1편, 행장·묘표·문인록 각 1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는 소박하면서도 군색하지 않고 강건하면서도 온화한 기상을 내포하고 있다. 「유거(幽居)」·「전가우음(田家偶吟)」에는 소박하고 한가로운 농촌의 모습이 잘 묘사되어 있다. 「여구문답(與鷗問答)」·「만흥(謾興)」에는 한가한 야인의 모습과 강건한 선비의 기질이 잘 드러나 있다.
서(書)의 「기가아요묵서(寄家兒堯默書)」는 선비가 학문이 넉넉하면 관록은 자연 따르게 마련이므로, 벼슬을 하려고 급급해하는 것은 부모를 기쁘게 하는 것이 아니니 성리학을 전공해 인간의 본분을 찾으라고 경계한 글이다.
잡저의 「대학성리논변(大學性理論辨)」은 『대학』에 열거된 성리학의 요점에 대해 변론한 글이다. 『대학』에서 심(心)만 말하고 성(性)을 말하지 않은 것은 심은 운용이 있지만 성은 조작이 없기 때문이라 설명하였다. 그리고 8조목에 천하에 명덕을 밝혀 백성을 새롭게 하는 것이 곧 평천하의 길이라고 하였다.
「계자서(戒子書)」는 역시 훈계의 내용으로 삼강과 오륜을 강조하였다. 서(序)의 「향약서(鄕約序)」는 향약을 시행하면서 그 이유를 밝힌 글이며, 이 밖에 저자의 학행을 찬양하는 내용인 「정표상언(旌表上言)」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