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수재집 ()

목차
관련 정보
지수재집
지수재집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문신 · 학자, 유척기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78년에 간행한 시문집.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 · 학자, 유척기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78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15권 8책. 활자본. 1878년(고종 15) 후손 치익(致益)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김병학(金炳學)의 서문, 권말에 이우(李○)·치익의 발문이 있다. 규장각 도서·장서각 도서·국립중앙도서관 등에 있다.

권1∼5에 시 84수, 소차(疏箚) 100편, 서계(書啓) 8편, 의(議) 22편, 권6·7에 전(箋) 4편, 응제문(應製文) 3편, 제문 31편, 애사 1편, 서(書) 44편, 권8∼12에 비명 8편, 묘갈명 21편, 묘지명 35편, 묘표 14편, 권13∼15에 행장 2편, 시장(諡狀) 11편, 서(序) 4편, 기(記) 1편, 제(題) 17편, 발(跋) 5편, 잡저 4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소는 거의 사직(辭職)에 관련된 것들이다. 그 가운데 「진향정소(陳餉政疏)」는 국방의 중요한 정책을 진언한 것이다. 배는 썩어서 쓸 수 없고, 오영(五營)의 군졸은 계속 도망하고 있으며, 성곽은 무너진 곳이 많으나 수리할 비용이 없음을 지적, 군량미의 비축이 시급함을 주장하였다.

「청감적소(請減糴疏)」에서는 흉년에 대비해 백성을 구휼하는 방법으로는 조적(糶糴 : 쌀 매매)의 시행이 불가피하나 그것을 이용하는 지방의 탐관오리들의 행패가 막심하다 지적하고, 그 시정을 위해 환곡 정책을 시행해야 한다고 역설하였다.

서(書) 가운데 「상포음김선생(上圃陰金先生)」에는 김창집(金昌緝)에게 학문하는 방법과 공부하는 가운데 일어나는 의문점과 처세하는 방법 등을 질의한 내용이 있다. 그리고 「답정병사(答鄭兵使)」에는 시급한 병무(兵務)에 대한 의견들이 제시되어 있다. 또 별지(別紙)에는 수영(水營)을 옮기는 문제에 대한 의견과 인선(人選)의 중요성을 논한 내용이 있다.

기에는 쌍계사와 해인사를 두루 돌아보고 가야산의 아름다운 경치를 적은 「유가야기(遊伽倻記)」가 있다. 그 밖에 대왕대비 상중(喪中)의 예(禮)에 관해 부의(附議)한 의(議)가 있다. 이는 당시의 정치적 양상을 잘 알려주는 글이다.

관련 미디어 (3)
집필자
권오호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