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척 ()

목차
과학기술
개념
장년 남자의 열 손가락을 길이의 표준으로 사용한 길이단위.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장년 남자의 열 손가락을 길이의 표준으로 사용한 길이단위.
내용

우리 나라에서는 삼국시대를 거쳐 통일신라 때까지 계속 실시되고 있던 양전법(量田法)이 있었는데, 그 양전법은 장년 농부의 손가락 64지(指)를 한 변으로 하는 정사각형의 넓이를 면적의 기준으로 하고 그것을 1파(把), 10파를 1속(束), 10속을 1부(負), 100부를 1결(結)이라 하는 결부속파법(結負束把法)이었다.

이것은 바로 10지를 1척으로 보았을 때 6척4촌을 1보로 한 사마정전법에서의 양전법과 완전 일치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만약 이 제도가 제(齊)나라에서 도입된 양전법이었다면 그것은 분명히 10지(指)라 하지 않고 주척이라 했을 것이며, 면적도 결·부·속·파라 하지 않고, 분명히 보·묘·부라 했을 것이다.

이러한 이유에서 우리 나라에서는 이미 옛날부터 장년 남자의 열 손가락을 길이의 표준으로 사용했던 지척제도가 있었으며, 그것을 기준하여 전국의 전토(田土)가 마치 사마정전법같이 사용되어 왔음이 밝혀진다. 그 시기는 결코 제나라에서 시작된 주척을 기준으로 한 사마정전법 이후가 아니다. 이후의 제도로 보기에는 너무나 많은 문제들이 있다.

중국에서 밝혀진 옛 주척의 길이는 19.54㎝였는데, 진시황 26년에 와서는 이것의 길이가 더 늘어나 20.152㎝로 되었으며, 한나라 혜제(惠帝) 초에는 20.158㎝로 되었다. 이에 비해 세종 때의 기록에서 밝힌 바에 따르면, 고려 문종 때부터 제정되어 전해 오고 있던 30지 길이의 하전척(下田尺) 길이는 세종 주척으로 2척8촌이 되었다고 했으니, 여기서 계산된 10지폭의 지척 길이는 19.41㎝가 되어 주나라의 주척보다는 더 짧았다는 것도 밝혀졌다.

현재 우리 나라 남자의 신체가 중간쯤 되는 50명의 장년 남자를 택해 오른손 네 손가락을 가볍게 붙여 펴게 하고 손바닥 쪽 마디, 그 다음 마디, 사이부분의 4지폭을 실측하여 그 길이를 2.5배 한 10지폭을 평균하여 본바, 10지폭은 19.50㎝가 되어 옛 지척보다는 조금 길게 나타났다. 이것은 옛날과 현재의 우리 나라 남자 신체가 차이나는 데서 생긴 것으로 볼 수 있다.

참고문헌

『삼국유사』
『고려사』
『세종실록』
『전제상정(田制詳定)』
『예기(禮記)』
「도량형제도」(박흥수, 『박흥수박사기념논문집』-도량형과 국악논총-, 1980)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