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헌유고 ()

목차
유교
문헌
개항기부터 일제강점기까지 생존한 학자, 강희진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59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개항기부터 일제강점기까지 생존한 학자, 강희진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59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4권 2책. 석인본. 1959년 아들 한량(漢亮)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기노장(奇老章)의 서문, 권말에 조카 한회(漢會)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

권1·2에 시 179수, 가(歌) 1편, 부(賦) 1편, 서(書) 12편, 서(序) 1편, 제문 8편, 상량문 1편, 통문 3편, 가장(家狀) 6편, 전(傳) 1편, 행장 2편, 권3에 일기 3편, 권4에 부록으로 증시(贈詩) 2수, 자설(字說)·서증(書贈)·기(記)·설(說)·명(銘) 각 1편, 만사 65수, 제문 16편, 가장·행장·묘갈명 각 1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는 말세의 기풍으로 격앙되고 강개함이 엿보인다. 「과산청(過山淸)」·「등악양정(登岳陽亭)」은 명승 고적을 찾아 그때그때의 감회를 읊은 것이다. 그리고 「등칠의사단(登七義士壇)」과 「애정의사(哀鄭義士)」는 나라를 위해 몸 바친 의사들의 충성을 높이 치하하고, 어려운 시기에 처해 있으면서도 자신은 아무것도 하지 못함을 개탄하는 내용이다.

「감춘부(感春賦)」는 봄의 따사로운 햇볕이 만물을 소생시켜 화기가 넘치는데 얼어붙은 강토와 뜻을 이루지 못한 사람의 가슴은 녹이지 못함을 한하고 있다.

서(書)의 「답이지산양범(答李止山陽範)」은 학문과 처세에 대한 의견을 교환한 것이다. 그리고 「유인강씨효열천장(孺人康氏孝烈薦狀)」은 강규상(康奎相)의 딸이 김동수(金東秀)에게 시집갔는데 남편이 난치병에 걸려 백방으로 약을 구했으나 남편이 죽자 곧 따라 죽은 사실을 알리고 그를 표창해 줄 것을 청한 글이다.

「문목(問目)」은 예설과 인(仁)·경(敬)·인심(人心)·도심(道心) 등에 대해 질의한 것이다. 「삼산재일기(三山齋日記)」·「정남일기(征南日記)」·「재정교남일기(再征嶠南日記)」는 스승의 문하에서 학문을 강론할 때 스승으로부터 들은 중요한 내용과 『노사문집(蘆沙文集)』을 교열할 때 있었던 잡다한 사실들을 기록한 것이다.

집필자
권오호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