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향사 ()

목차
조선시대사
제도
조선시대 대중국관계에서 임시로 파견하던 비정규 사절 또는 그 사신.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시대 대중국관계에서 임시로 파견하던 비정규 사절 또는 그 사신.
내용

중국에 국상이 났을 때 제문(祭文)과 제폐(祭幣)를 가지고 가 조의를 표하기 위하여 임시로 파견하였다. 진향사는 황제·황태후·황후 등의 국상에 파견하던 진위사(陳慰使)와 같이 하는 것이 상례였다.

즉, 정사는 진위사, 부사는 진향사가 되고, 한 사람의 서장관(書狀官)이 진위·진향을 겸찰(兼察)하였던 것이다. 이밖에 종사관(從事官)·통사(通事 : 통역) 및 의원(醫員)·사자관(寫字官 : 서자관)·화원(畵員)과 노자(奴子) 등을 합하여 일행은 대개 40인 내외였다.

이들 사행이 휴대하는 문서는 진향제문 1도(度), 황제의 상인 경우 황태자 앞으로 보내는 전(箋) 정·부본(正副本) 각각 1도, 예부(禮部)에 보내는 자문(咨文) 1도 등이었다.

진향제폐는 대개 백세저포(白細苧布)·백세면주(白細綿紬)·은자(銀子)·백면지(白綿紙)·백지(白紙)·침속향(沈束香)·부용향(芙蓉香)·청밀(淸蜜)·건시(乾枾)·생리(生梨)·호도(胡桃)·생률(生栗)·대조(大棗)·은향합(銀香盒)·화룡촉(畵龍燭)·대촉대(大燭臺) 등이었다.

참고문헌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대전회통(大典會通)』
『통문관지(通文館志)』
『동문휘고(同文彙考)』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