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주금강반야바라밀경 권하 ( )

목차
관련 정보
집주금강반야바라밀경 권하
집주금강반야바라밀경 권하
불교
문헌
문화재
1417년 공림사에서 간행한 『금강경』을 풀이한 주석서. 불교서.
국가지정문화재
지정 명칭
집주금강반야바라밀경 권하(集註金剛般若波羅蜜經 卷下)
지정기관
문화재청
종목
보물(1995년 07월 19일 지정)
소재지
강원도 원주시 오크밸리2길 58 (지정면, 오크밸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1417년 공림사에서 간행한 『금강경』을 풀이한 주석서. 불교서.
내용

하(下)권. 1권 1책. 목판본. 1995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이 책은 금강반야바라밀경에 대한 53가(家)의 주해(註解) 가운데 왕일휴(王日休), 진웅(陣雄), 부대사(傅大士), 안여여거사(顔如如居士), 야부도천선사(冶父道川禪師), 약눌선사(若訥禪師), 육조대사(六祖大師), 자암승미선사(茨菴僧微禪師), 지자선사(智者禪師) 등의 주석을 모아 편집한 것이다.

금강경 전체 32분과 가운데 제15 지경공덕분(持經功德分)부터 제32분 응화비진분(應化非眞分)까지 수록되어 있다. 권말에는 수경게(收經偈)가 실려 있고 영경사(永慶寺)의 도과법사(道顆法師)의 석본(石本)을 저본(底本)으로 했음을 밝히고 있다. 이어서 본문의 교정표(校正表), 육조대사(六祖大師)의 서문(序文), 지자 청량 이선사 송(智者 淸凉 二禪師 頌), 간행발(刊行跋)과 간기(刊記)가 붙어있다. 이 가운데 간행발 이외에는 간행 당시의 저본(底本)에 붙어 있던 것을 그대로 수용한 것으로 보인다.

이 판본은 신주(信珠) 등의 화주(化主)로 전도관찰사(前都觀察使) 우희열(禹希烈)과 전통선랑목주감무(前通善郞木州監務) 허이(許彛) 등에 의해서 1417년에 공림사에서 간행된 것이다.

금강경의 주석서(註釋書)로 우리나라에는 『금강경오가해(金剛經五家解)』나 『금강경삼가해(金剛經三家解)』가 널리 유통되었는데 비해 처음 나온 새로운 자료이다. 한솔종이박물관에 있다.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박상국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