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녕 인양사 조성비 ( )

목차
관련 정보
창녕 인양사 조성비 전경
창녕 인양사 조성비 전경
서예
유적
국가유산
경상남도 창녕군 창녕읍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 시기에 인양사 관련 사적비.
이칭
이칭
창녕 인양사 조성비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창녕 인양사 조성비(昌寧 仁陽寺 造成碑)
분류
기록유산/서각류/금석각류/비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보물(1963년 01월 21일 지정)
소재지
경남 창녕군 창녕읍 교리 294번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경상남도 창녕군 창녕읍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 시기에 인양사 관련 사적비.
내용

1963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810년(헌덕왕 2) 건립. 높이 1.58m, 너비 48㎝, 두께 18㎝. 비문의 내용은 많이 마멸되었으나 인양사(仁陽寺)라는 절에 세워졌던 것으로 추정되어, 창녕 인양사 조성비(昌寧仁陽寺造成碑)라고도 하며, 771년 (혜공왕 7)부터 40여년간의 기록을 한 것이다.

9세기 초의 비로는 비교적 보존상태가 양호한 편인 이 비는 비면에 두께 10㎝ 정도의 불상이 부조(浮彫)되어 있다. 비측과 비음에는 대체적으로 그 당시의 비문에 흔하지 않은 지름 5㎝ 안팎의 행의(行意)를 곁들인 해서(楷書)가 새겨져 있다. 양쪽 비측에 각 두 줄, 비음에는 10행의 배치로 형성되어 있다.

글씨 형태는 일반적으로 당시에 유행했던 당대(唐代) 해서의 범주를 벗어나고 있다. 물론 이 때만 하더라도 중국의 영향을 크게 벗어나고자 한 것은 보이지 않으나, 서체의 도입이 당대보다 좀더 거슬러 올라간, 진한대(秦漢代)의 형태미를 구사하였다는 것은 나름대로의 독자성 추구를 강력히 실천하였다는 의미이다.

표면상에 나타난 것으로는 목간(木簡 : 글을 나뭇조각에 적은 것)의 필의를 느끼게 하는 부분이 있는가 하면, 간혹 백서(帛書 : 비단에 쓴 글)의 필의도 엿보이고 있다. 전체적인 분위기에서는 정도소(鄭道昭)의 해서필의도 상당한 부분에 나타나고 있으며, 부분적으로는 왕희지(王羲之)의 기본도 강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렇듯이 여러 가지 글씨 형태를 동시에 표출하고 있는 것은 입비(立碑) 당시의 서자(書者)가 가지고 있는 새로운 서형태의 전개를 살필 수 있다.

참고문헌

『서예술학』(정충락, 미술문화원, 1984)
『문화재대관』 6-보물 4-(한국문화재보호협회, 대학당, 1986)
『서형태미비교연구』(정충락, 미술문화원, 1987)
「인양사금당치성비문의 한 고찰」(문명대, 『신라가야문화』 11, 영남대학교신라가야문화연구소, 1980)
집필자
정충락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