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랑곡 ()

목차
고전시가
작품
작자 · 연대 미상의 조선시대 가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작자 · 연대 미상의 조선시대 가사.
내용

형식은 4음보 1행을 기준으로 모두 61행이다. 부귀공명을 버리고 일간어죽(一竿漁竹)을 벗삼아 창랑(滄浪)에서 살겠다는, 어부가(漁父歌) 계열의 노래다.

“이몸이 한가하여/산수간에 소요하니/부귀공명 듯없기는/연하고질(煙霞痼疾) 병이로다/” 하여 창랑생활을 ‘고질’이라 하였다. 그것은 “상공불환차강산(三公不換此江山)”, 즉 삼공의 영화와도 바꾸지 않는 강산 속의 병(즐거움)이다.

“청한(淸閑)한 목동적(牧童笛)은 석연(夕煙)을 몰아오네”, “고기주고 술을받아/옥호(玉壺)에 넣어들고/나잡고 벗권하니/취토록 먹으리라”와 같이 이렇듯 산수에 마음을 팔고, 고기 주고 술을 받아 벗과 잔을 기울이며 세월 가는 줄 모르는 태평한민(太平閑民)적 생활, 이것이 어부가의 가어옹(假漁翁)의 세계다. 말미는 “낙대를 고쳐들고/조대(釣臺)로 나려가니/아마도 일생종적이/창랑속에 있노매라”라고 맺고 있다.

일종의 은둔가사로, 중국의 은사(隱士)들과 전고(典故)를 많이 엮어 새로운 창작적 표현은 별로 없으며, 굴원(屈原)의 「어부사(漁父詞)」를 이상으로 삼고 있다.

참고문헌

『가사문학전집』(김성배 외, 집문당, 1968)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