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주집 ()

목차
관련 정보
창주집
창주집
유교
문헌
조선시대 때의 학자, 허돈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09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시대 때의 학자, 허돈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09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4권 2책. 목판본. 1909년 후손 유(愈)가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이당규(李堂揆)·이관징(李觀徵)·박태무(朴泰茂)의 서문, 권말에 유치명(柳致明)·이기주(李基周)·곽종석(郭鍾錫)과 유 등의 발문이 있다. 연세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권1·2는 시 123수, 서(書) 18편, 서(序) 2편, 제문 6편, 잡저 2편, 묘지명 1편, 권3·4는 부록으로 연보 1편, 만사 5수, 제문 2편, 언행록·행장·묘갈명·묘표·묘지명·봉안문·상향문·유집후·서괘관시후(書掛冠詩後) 각 1편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시는 품격이 높고 운율이 청아하다. 한편 시대적인 영향을 받아 나라를 걱정하는 마음을 애상조로 표출한 작품도 있다. 「우성(偶成)」·「시사삼절(時事三絶)」 등은 나라가 간신들의 농락으로 표류하는 것을 개탄한 것이다.

「봉선화(鳳仙花)」·「종국(種菊)」은 배신과 농간을 모르는 꽃에 한껏 정이 간다고, 꽃을 재배하기로 한 뜻을 나타낸 것이다. 「서정(西征)」은 오언장시로 당시의 정계 상황, 자신의 사상과 처신 방향을 밝힌 것이다. 서(書)의 「답임낙옹(答林樂翁)」 5편과 「여조치원(與趙致遠)」 2편은 학문과 시사, 예설 등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다. 「도굴산기우문(闍崛山祈雨文)」은 군수를 대신해 지은 것으로, 당시 선비들의 자연 숭배 사상이 잘 나타나 있다.

「유가야산록(遊伽倻山錄)」에서는 1625년(인조 3) 7월에 가야산의 수양사(樹陽寺)·홍류동(紅流洞)·음풍뢰(吟風瀨)·낙화담(落花潭)·분옥폭(噴玉瀑)·첩석대(疊石臺)·해인사(海印寺) 등을 돌아보며 주위의 경관을 느낀 대로 기록하였다. 특히 바위에 새겨진 여러 사람의 시를 눈에 띄는 대로 기록한 것과 해인사 내에 최치원(崔致遠)이 만들었다는 유상곡수(流觴曲水)를 발견해 기록한 것은 주목할 만하다.

「남령초계(南靈草戒)」는 당시 남방에서 들어온 담배는 해롭기만 하고 이로움은 없으니, 즐기지 말라고 경계한 글이다.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권오호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