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권 3책. 필사본. 1888년(고종 25) 아들 경열(景說)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김평묵(金平默)의 서문과 권말에 경열의 발문이 있다. 서울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권1∼3에 시 35수, 서(書) 31편, 서(序) 8편, 기(記) 2편, 잡저 22편, 권4는 부록으로 기(記)·발·행장·장후(狀後)·사략(事略)·직중록(直中錄)·존주록(尊周錄)·임진표해록(林陳漂海錄)·전(傳)·조종암가(朝宗巖歌)·공의본말(公議本末)·대통행묘기(大統行廟記)·조암지발(朝巖誌跋) 각 1편, 시 2수 등이 수록되어 있다.
서(書)인 「상강산이상공(上薑山李相公)」은 이서구(李書九)에게 보낸 편지다. 우리나라 사람들이 명나라를 생각하는 존주대의(尊主大義)를 높이 찬양하고, 그것을 더욱 고무시키기 위해 자기의 편저인 『열천직중록(洌泉直中錄)』·『황명유민록(皇明遺民錄)』·『임진표해록』·『만력삼과(萬曆三科)』 등의 책자를 보내니 존주하는 데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저자는 명나라 유민 상생(庠生)의 5대손으로, 조국을 그리는 마음을 나타낸 글이다.
「상백씨(上伯氏)」와 「답황치도(答黃致道)」는 대명례(大明禮)에 따라 예제(禮制)를 시행할 것을 당부한 글이다. 「구의사의(九義祠儀)」는 명 말의 아홉 의사를 모신 구공단(九公壇)을 만들고 그 곳에 제향하는 의식을 적은 것으로 위패·진설·향사 등에 대해 도본(圖本)을 그려서 설명하고, 제기·제복·의물·의절(儀節)에 대해서도 조목별로 자세하게 설명하고 있다.
부록의 글들은 대명의리를 밝힌 것, 명의 유민이 조선에 유입한 것, 명나라 신종을 모신 대보단이나 글씨를 새긴 조종암에 대한 찬양과 그 전말을 적은 내용들이다. 이 밖에 선조에 제사지내는 절차를 설명한 「망위의(望位儀)」와 「오사의(五祀儀)」가 있다.
전편에는 존명대의 또는 북벌(北伐)에 관한 내용을 중심으로 엮어져 있다. 간행 당시 김평묵은 이러한 점을 기려 특별히 서문을 써서 그 내력을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