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장 ()

목차
관련 정보
삼층책장
삼층책장
공예
물품
서책과 두루마리 문서를 간직하는 가구.
목차
정의
서책과 두루마리 문서를 간직하는 가구.
내용

표준치수 높이 110∼160㎝, 앞너비 75∼130㎝, 옆너비 40∼50㎝. 조선시대의 남성들은 사랑방에서 벗을 맞아 예(禮)를 논하고 유학(儒學)을 연구하는 풍조가 성하여 서책을 멀리 할 수 없는 생활을 하였으므로, 책장은 필수적인 것으로 여러 형태의 것이 형성되었다.

옛 서책은 크기가 크고 부피가 많았던 까닭에 책장의 규모도 이에 비례하여 문짝이 커지고, 문짝을 활짝 열기 위하여 책장 옆널 좌우에는 쥐벽칸이 따로 없이 경첩(창문이나 세간의 문짝을 다는데 쓰는 쇳조각 장식)을 문판(門板)과 기둥에 직접 부착하였다.

그리고 흔히 장롱문판 하단에서 볼 수 있는 머름칸의 공간이 없고, 문을 열면 바로 서책을 꺼내기 쉽도록 되어 있다. 종류로는 앞판 긴 문짝 속에 여러 개의 층널을 만들어 한눈에 위아래층을 다 볼 수 있게 만든 것도 있고, 층마다 따로 문짝을 단 것이 있다.

많은 책의 무게를 지탱할 수 있도록 골재로는 단단한 참죽나무·소나무, 판재로는 오동나무·소나무, 부재로는 광택이 없는 오동나무·소나무가 많이 쓰였으며, 약간의 무쇠장식과 더불어 검소한 소박미를 보여주고 있다.

참고문헌

「조선시대(朝鮮時代)의 목공가구(木工家具)」(임영주, 『한국의 미 24 -목칠공예-』, 중앙일보사, 1985)
관련 미디어 (3)
집필자
배만실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