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지도수 ()

목차
신종교
개념
김항의 『정역』에서 선후천개벽의 징후가 되는 일월운행의 변화를 상수적으로 표현한 역학용어.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김항의 『정역』에서 선후천개벽의 징후가 되는 일월운행의 변화를 상수적으로 표현한 역학용어.
내용

『정역』 중 상편(上篇)이라고 할 수 있는 「십오일언(十五一言)」에는 “하늘과 땅의 합덕이 바로 해와 달이다(天地之合德日月).”라는 구절이 있고, “해와 달의 공덕은 하늘과 땅이 나누어진 것(日月之德 天地之分)”이라는 표현도 있는데, 이는 천지와 일월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그에 따르면 역(易)은 역(曆)이므로 선천(先天)과 후천(後天)의 역(易)이 다를 경우 당연히 역(曆)도 다르게 된다. 그런데 선천·후천의 모든 역(曆)에는 모체가 되는 원역수(原曆數)가 존재한다.

원역수란 천지일월(天地日月) 사상(四象)의 기본체위도수(基本體位度數)를 159도(度)로 상정하고, 여기에 일원추연수(一元推衍數) 216도를 더한 375도를 가리키며, 이것이 바로 일부지기(一夫之朞)이다. 일부에 의하면 선천개벽과 후천개벽 모두가 이 375도의 원역수 내에서 이루어진다.

선천개벽이란 제요지기(帝堯之朞)인 366일에서 제순지기(帝舜之朞)인 365일과 4분의 1일로 기수(朞數)가 변한 것을 일컫는다. 후천개벽은 일부지기인 375도에서 공자지기(孔子之朞)인 360도 정역(正曆)으로 기수가 변화되는 것을 나타내며, 1년 기수 중에서 15도가 귀공(歸空)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선천개벽은 1년 기수 중에서 9시간이 귀공되는 것으로 날[日]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며, 후천개벽은 15도(실제로는 14일 3시간)가 귀공되는 것으로 달[月]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그러나 선천개벽은 우주의 생장(生長)을 위한 개벽으로서 그 자체 내에 모순과 위기가 내재되어 있어 천경지위(天傾地危)의 3,000년 역사를 예고할 뿐이다.

이에 반하여 후천개벽은 우주의 완성을 위한 개벽으로서 천지일월의 합덕(合德)과 음양이 완전히 조화를 이루고 일치되는 이상세계이다.

참고문헌

「정역연구(正易硏究)」(이정호, 국제대학 인문사회과학연구소, 1976)
「정역사상(正易思想)의 연구(硏究)」(유남상, 『한국종교』제1집, 197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