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의헌유고 ()

목차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학자, 조필감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48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조필감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48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4권 2책. 필사본. 1848년(헌종 14) 아들 경순(景詢) 등이 편집, 간행하였으나, 이 규장각본은 필사본이다. 권두에 이민익(李敏翼)의 서문이 있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권1·2에 시 149수, 서(書) 18편, 서(序) 3편, 기(記) 1편, 제발(題跋) 3편, 상량문 1편, 권3·4에 잡저 5편, 묘지명 5편, 묘표 3편, 행장·행록 6편, 애사 1편, 제문 37편, 시화(詩話) 25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는 충담전아(冲澹典雅)하며 온유돈후(溫柔敦厚)한 뜻을 잃지 않았다는 평을 받았다.

기인 「동행일기(東行日記)」는 1802년(순조 2) 59일간 여행한 기록이다. 처음 삼척을 출발하여 강릉, 금강산 등 동해안 일대의 명승지를 두루 돌아보면서 여행 중에 보고 듣고 느끼고 체험한 것을 상세히 적고 있다.

시화는 시인의 시와 일화를 모아 놓은 것으로서, 안평대군(安平大君)과 선조 때의 시인 김덕령(金德齡)·윤자운(尹子雲)을 비롯하여 한명회(韓明澮)·김인후(金麟厚)·길재(吉再)·남구만(南九萬)·송시열(宋時烈)·신명인(申命仁) 등과 선조 때의 일로(一老), 완산(完山)의 여기(女妓) 형제 등 많은 인물이 수록되어 있다. 조선시대 한시연구에 참고자료가 된다.

집필자
권오호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