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계집 ()

목차
유교
문헌
조선 후기부터 일제강점기까지 생존한 학자, 최동익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23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부터 일제강점기까지 생존한 학자, 최동익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23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8권 4책. 목활자본. 1923년 아들 양섭(養燮)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말에 조긍섭(曺兢燮)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과 고려대학교 도서관·연세대학교 도서관·성균관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권1·2에 사부(辭賦) 4편, 시 280수, 악부 7편, 권3∼7에 서(書) 96편, 잡저 8편, 서(序) 3편, 기(記) 2편, 발(跋) 3편, 찬(贊) 1편, 사(辭) 2편, 애사 2편, 고문(告文) 1편, 제문 5편, 권8에 묘지 2편, 묘갈 1편, 묘표 1편, 행장 6편, 유사 3편, 전(傳) 3편, 부록으로 행장·묘갈명 각 1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사의 「장은거사(將隱居辭)」는 도잠(陶潛)의 「귀거래사」를 차운한 것으로, 세상이 혼란하니 은거자적한다는 뜻을 밝힌 것이다. 시 가운데 「재거일용삼십오수(齋居日用三十五首)」는 평생 수행해야 할 일을 독서·거처(居處)·언어·교유·조심(操心)·궁리 등 35조목으로 읊은 것이다. 악부의 「전가사사수(田家詞四首)」는 농가의 실정을 읊은 것이다.

서(書)의 「상서산선생문목(上西山先生問目)」은 스승 김흥락(金興洛)에게 정심(正心)에 관해 질문한 것이고, 「여허후산유(與許后山愈)」의 별지(別紙)는 명덕(明德)·심성(心性)·이기(理氣)에 관해 허유와 토론한 것이다. 「여장농산승택(與張農山升澤)」과 「답강숙원익호(答姜叔源翊鎬)」의 별지는 장승택·강익호와 사단칠정(四端七情)과 심성에 대해 변론한 것이다. 이 글들은 성리학을 연구하는 데 좋은 자료가 된다.

또한, 「답이도유종홍(答李道惟鍾弘)」의 별지는 이종홍과 『사례편람(四禮便覽)』 중 의심나거나 어려운 부분을 토론한 것으로, 예(禮)를 연구하는 데 좋은 자료가 된다. 잡저의 「대학차의(大學箚疑)」와 「존문록(尊聞錄)」은 『대학』과 성리학을 이해하는 데 좋은 자료가 된다.

전(傳)의 「무유선생전(無有先生傳)」은 저자 자신의 전기로, 옛 성현을 배우다가 이루지 못할지언정 일선(一善)으로 명예를 구하지 않고, 시골에 묻혀 있을지언정 정도(正道)를 버리고 세상과 야합하지 않았다고 하였다.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