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자 상감 매죽학문 매병 ( )

목차
관련 정보
청자 상감매죽학문 매병
청자 상감매죽학문 매병
공예
유물
문화재
고려 시대의 청자 매병.
이칭
이칭
청자 상감매조죽문 매병
국가지정문화재
지정기관
문화재청
종목
보물(1986년 11월 29일 지정)
소재지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6가, 국립중앙박물관)
목차
정의
고려 시대의 청자 매병.
내용

1986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높이 38.9㎝, 입지름 5.1㎝, 밑지름 15.6㎝. 어깨에서 팽배하게 벌어졌다가 배 아래쪽 부분에서 점차 좁혀지며 각이 진 아가리가 달린 전형적인 고려 매병이다.

매병의 동체에 주문양인 가는 줄기의 매화와 대나무를 흑백상감기법(黑白象嵌技法)으로 시문하고, 그 사이를 비상하고 있는 새와 학, 그리고 풀 등이 회화적으로 표현되었다. 병의 입 주변과 맨 아래 부분에는 뇌문대(雷文帶)가 백상감(白象嵌)으로 간결하게 시문되었으며, 어깨 부분에는 여의두문대(如意頭文帶)를 나타냈다.

청자의 유약(釉藥)은 담청록색(淡靑綠色)으로 투명하며 미세한 유빙렬(釉氷裂)이 전면에 나 있다. 굽은 바닥 안쪽을 깎아내는 방식으로 제작했으며 저부 전체를 시유했다. 접지면에는 모래가 섞인 내화토(耐火土) 빚음을 받쳐 구운 흔적이 열두 곳에 나 있다.

제작 시기는 12세기 후반에서 13세기 초반으로 추정되며, 전라북도 부안군 유천리요(柳川里窯) 혹은 전라남도 강진군 사당리요(沙堂里窯)에서 제작된 것으로 보인다. 원래 몸체가 여러 조각으로 난 것을 수리한 대형의 이 매병은 회화적인 매조죽(梅鳥竹)의 상감문양과 맑은 청자유가 잘 어울리는 작품으로 주목된다.

참고문헌

『문화재대관 보물: 토기·도자기』(문화재청, 2015)
『고려청자명품특별전』(국립중앙박물관, 1989)
관련 미디어 (1)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