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3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높이 33.0㎝, 입지름 5.2㎝, 밑지름 11.0㎝.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이 작품은 고려 시대 전형적인 매병으로 반구형(盤口形)으로 각이 져 세워진 아가리가 짧은 목을 통해 풍만하게 벌어지는 어깨로 이어진다. 동체는 저부로 갈수록 서서히 좁아져 내려가다가 다시 벌어지는 형태이다.
매병의 문양은 동체 양쪽에 대칭으로 바람에 흔들리는 가늘고 길게 세워진 매화(梅)와 대나무(竹)가 배치되었고, 그 사이에 역시 대칭으로 위에서 내려오거나, 위로 올라가거나, 땅 위에 서 있는 3마리의 학들이 흑백상감으로 섬세하고 회화적으로 표현되었다.
유색(釉色)은 담청록색(淡靑綠色)으로 전면에 고르게 시유되었으며, 기면 일부에 미세하게 빙렬(氷裂)이 나있어 그 사이로 흙물이 스며있다. 굽다리는 안바닥을 깎아 세웠으며 점토가 섞인 내화토(耐火土) 받침을 9곳에 받쳐 구운 흔적이 남아 있다. 굽다리 일부는 결손되었다.
제작 시기는 기형과 문양으로 보아 12세기 후반 전라북도(현, 전북특별자치도) 부안군 유천리요에서 제작된 것으로 보이며, 경상남도 하동군 적량면 우계리에서도 파손된 청자 조각들로 출토되었다.
이와 비슷한 청자 매병이 현재 미국 보스턴미술관(Museum of Fine Arts, Boston)에 소장되어 있다.보스턴미술관의 청자 매병은 입 부분이 파손되어 수리된 상태인데 반해 이 청자 상감매죽학문 매병은 형태나 문양에 있어서 완전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어 더욱 가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