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학사 ()

목차
불교
유적
강원도 강릉시 연곡면 청학산(靑鶴山) 소금강(小金剛)에 있는 조선전기 제7대 세조가 중창한 사찰.
목차
정의
강원도 강릉시 연곡면 청학산(靑鶴山) 소금강(小金剛)에 있는 조선전기 제7대 세조가 중창한 사찰.
내용

대한불교법화종에 속한다.

창건연대 및 창건자는 미상이나 예로부터 관세음보살의 현신설화(現身說話)가 많은 곳이고, 세조에 의하여 중창된 사찰이다. 1457년(세조 3) 왕이 상원사(上院寺)에 들렀을 때 흰 옷을 입은 노인이 세조 앞에 나타나 동대(東臺) 동쪽 기슭의 50리쯤 되는 곳에 청학사가 있고, 매일 새벽 그곳에서 32응신(應身)을 나타내어 중생을 교화하고 있으나, 현재 그 절이 퇴락했으니 왕이 그곳을 중창하여 불법(佛法)의 홍포(弘布)에 도움이 되게 해 달라고 현몽하였다. 세조는 즉시 사람을 보내 그 암자를 조사하게 한 뒤 절을 중창하도록 하였다. 그 뒤 1753년(영조 29)에 설화(雪華)·신극(信剋)·사주(司珠) 등이 법당을 중건하기 위하여 모연문(募緣文)을 쓰기까지 했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였고, 1757년에 해정(海淨)·승철(勝哲) 등이 누각과 요사를 지었다. 1763년 옛 건물의 지붕과 구들을 다시 놓았고, 부처와 용상(龍像)을 새로 그려 모셨으며, 1765년 덕잠(德岑) 등이 법당을 단청하였다. 그러나 1783년(정조 7) 겨울에 원인 모를 화재로 모두 소실되어 터만 남았던 것을 최근에 옛터 근처에 다시 작은 절을 창건하였다.

문화재로는 석조관음보살상및복장유물(강원도 유형문화재, 2007년 지정)을 비롯하여 청동불입상(강원도 문화재자료, 2007년 지정)・청동보살입상(강원도 문화재자료, 2007년 지정)・석불좌상・광배(光背) 및 중대석(강원도 문화재자료, 2011년 지정) 등이 있다. 이중 청동 불입상과 보살입상 및 석불좌상・광배 및 중대석 등은 청학사 근처의 흑암사(黑岩寺) 터에서 발견되어 옮겨온 것으로 통일신라 말에서 고려 초기의 작품으로 추정된다. 절 주위에는 많은 경승지가 있다. 용담화상(龍潭和尙)이 창건한 묘련암(妙蓮庵) 옆에는 용담이라는 못이 있고, 못 안에는 용화굴(龍華窟)이 있어 신룡(神龍)이 출몰했다고 하며, 못 위로 허물어진 성터가 있는데 신라왕족이 쌓은 피난처였다고 전한다. 성터의 5리 아래에는 백마봉(白馬峰)과 백운암(白雲庵)이 있는데, 백마봉은 청학이 노니는 곳이고 신선이 머무는 곳이라고 한다. 청학사라는 이름도 여기에서 유래된 것이다.

참고문헌

『조선사찰사료(朝鮮寺刹史料)』
『한국의 사찰』13 월정사(한국불교연구원, 일지사, 1977)
집필자
박상국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