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지사지 석장승 ( 장승)

목차
관련 정보
무안 총지사지 석장승
무안 총지사지 석장승
민간신앙
유적
문화재
전라남도 무안군 몽탄면 총지마을에 있는 조선후기에 건립된 한 쌍의 장승. 석장승.
시도지정문화재
지정 명칭
총지사지석장승(摠持寺址石長생)
지정기관
전라남도
종목
전라남도 시도민속문화유산(1987년 06월 01일 지정)
소재지
전남 무안군 몽탄면 대치리 543-1번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전라남도 무안군 몽탄면 총지마을에 있는 조선후기에 건립된 한 쌍의 장승. 석장승.
내용

2기(基). 1987년 전라남도 민속문화재(현, 민속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장승이 서 있는 위치는 총지마을 입구이며 여기에서 총지사의 옛 절터까지는 약 500여m의 거리를 두고 있다.

이 장승은 모두 자연석을 이용하여 얼굴 부위만을 형상화하였다. 굳이 성적인 구분을 한다면 북쪽의 장승이 수염을 표현하여 이를 남장승으로, 그리고 마주하는 남쪽의 장승에는 수염이 없어 이를 여장승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그러나 이처럼 외형적인 구분과는 달리 인상은 오히려 여장승이 강인한 면을 풍기고 있다. 이들 장승의 이마에는 부처와 같이 백호(白毫)가 새겨져 있어 그 모습이 미륵불을 연상하게 한다.

크기는 남장승이 높이 145cm, 너비 95cm, 여장승은 높이 172cm, 너비 85cm이다. 장승의 제작연대를 밝힐 수 있는 명문이나 근거기록이 불분명하여 정확한 시대는 알 수 없지만, 단지 총지사에 관하여 비교적 자세하게 전하는 《면성지 綿城誌》의 내용으로 볼 때 조선 현종 7년(1666)에 사찰이 중건을 보게 되고, 또한 인면형 장승의 출현이 대체로 조선 후기인 점을 감안하면 이들 장승의 제작시기도 17세기 중엽으로 상정해볼 수 있다.

이 장승이 총지사와 관련된 사찰장승으로 보는 것은 장승과 관련된 의례나 주변 마을과의 관련사실이 전혀 확인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사찰장승의 경우 현재의 위치는 바로 총지사의 경역이 되는 셈이다.

다시 말해 장승은 사찰의 가장 외곽에 위치하여 사찰의 경계를 표시하고 사찰로 들어오는 모든 잡귀 · 잡신을 막아주는 경계표와 수호신적인 기능을 아울러 가지게 되는 것이다.

참고문헌

『'87도지정문화재조사보고서』 1(전라남도, 1987)
『남녘의 벅수』(이종철, 김향문화재단, 1990)
『벅수와 장승』(김두하, 집문당, 1990)
『문화재도록』-도지정문화재편-(전라남도, 1992)
집필자
이종철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