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승구 ()

현대문학
인물
일제강점기 「벨지엄의 용사」, 「사랑의 보금자리」, 「보월」 등을 저술한 시인.
이칭
소월(素月)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892년(고종 29)
사망 연도
1917년
본관
해주
출생지
경기도 시흥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일제강점기 「벨지엄의 용사」, 「사랑의 보금자리」, 「보월」 등을 저술한 시인.
개설

경기도 시흥(始興) 출생. 본관은 해주(海州). 호는 소월(素月). 아버지는 최대현(崔大鉉)이다.

생애

보성전문학교(普成專門學校)를 거쳐 1910년경 일본으로 건너가 게이오대학(慶應大學) 예과과정을 수료하였다. 처음에는 사학(史學)을 전공하려고 하였으나, 학비난에다 폐결핵까지 겹쳐 학업을 중단하고 귀국, 당시 전라남도 고흥군수로 있던 둘째형 최승칠(崔承七)의 집에서 요양하다가 26세의 젊은 나이로 요절(夭折)하였다.

활동사항

재기발랄하고 다정다감한 최승구의 시재(詩才)는 일찍이 최남선(崔南善)에게 높은 평가를 받았다. 최승구는 또 시작뿐만 아니라 연극에도 뛰어난 재능을 보여 직접 극본을 써서 연출·연기를 맡아 하기도 하였다.

최승구의 문단 활동은 일본 유학 당시 『학지광(學之光)』의 편집에 참가하면서부터 시작되었다. 일제치하의 울분과 저항정신을 고취한 시 「벨지엄의 용사」를 1915년 『학지광』 제4호에 발표하는 한편, 「정감적(情感的) 생활(生活)의 요구」·「남조선의 신부(新婦)」 등의 수필과 평문류(評文類)를 역시 『학지광』에 발표하기도 하였다.

그밖에 시작품으로는 유고시집(遺稿詩集) 노트에 실려 있는 시편들이 대부분을 차지한다. 「종(鐘)」·「사랑의 보금자리」·「박사왕인(博士王仁)의 무덤」·「나의 고리(故里)」·「불여귀(不如歸)」 등 25편을 남기고 있다. 이들 시편들은 대체로 그 이전의 개화기 시가들에서 보이는 집단적이고 민중적인 발상법과는 달리, 주정적(主情的)이고 개인 자아의 서정성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특히 「보월(步月)」과 「조(潮)에 접(蝶)」을 비롯한 일련의 시에 나타난 서정성, 즉 감상(感傷)과 향수를 기조로 한 낭만적 속성은 당시 ‘민족주의’를 표방하였거나 아니면 그것을 주제로 하여 직설적이고 웅변적인 어조로 노래하고 있는 개화기 시가보다는 한층 진전된 단계의 것으로 간주된다.

유작으로는 1982년에 간행된 『최소월작품집(崔素月作品集)』이 있다.

의의와 평가

최승구는 최남선의 「해에게서 소년에게」로부터 주요한(朱耀翰)의 「불놀이」 등 일련의 시작에 이르는 한국 근대시사에서 중간적 위치를 차지하면서 시적 전환을 보여주고 있는 시인이다. 최승구가 담당한 과도기의 교량적 구실은 우리의 근대시사에서 매우 중요한 것으로 평가된다.

참고문헌

『최소월작품집(崔素月作品集)』(김학동 편, 형설출판사, 1982)
『한국개화기시가연구(韓國開化期詩歌硏究)』(김학동, 시문학사, 1981)
『한국근대시인연구(韓國近代詩人硏究) Ⅰ』(김학동, 일조각, 1974)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