춘추집전 ()

목차
관련 정보
춘추집전
춘추집전
유교
문헌
조선후기부터 개항기까지 생존한 유학자 이진상이 『춘추』에 관한 여러 해설을 모아 1912년에 간행한 주석서. 유학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후기부터 개항기까지 생존한 유학자 이진상이 『춘추』에 관한 여러 해설을 모아 1912년에 간행한 주석서. 유학서.
내용

20권 10책. 목판본. 1912년 아들 승희(承熙)가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저자의 서문과 범례, 인용 선유 성씨(引用先儒姓氏), 춘추 강령, 춘추 독법, 정자춘추전서, 호씨춘추전서가 있고, 권말에 곽종석(郭鍾錫)의 발문과 춘추단론(春秋斷論)·고오(考誤)가 수록되어 있다. 연세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권1에 노은공(魯隱公), 권2에 환공(桓公), 권3에 장공(莊公), 권4에 민공(閔公), 권5∼7에 희공(僖公), 권8에 문공(文公), 권9·10에 선공(宣公), 권11에 성공(成公), 권12∼14에 양공(襄公), 권15∼18에 소공(昭公), 권19에 정공(定公), 권20에 애공(哀公)이 수록되어 있다.

서술 방식은 원문을 먼저 기재하고 다음에 한 자 낮추어 주석을 달았으며, 제목 위에는 『통감강목(通鑑綱目)』의 예를 적용, 분주(分註)하고 『춘추』의 원본에 의거해 처리하되, 내용상의 차이는 주로 호씨(胡氏)의 설을 따랐는데, 다만 공양(公羊)의 해석이 옳다고 여겨지는 것은 그것을 따랐다.

그래도 부족하다고 생각되는 조항에서는 선유의 말을 광범하게 수집, 보충하였는데, 인용한 선유가 98명이나 된다. 이 가운데 「원년춘왕정월(元年春王正月)」에서는 ‘원’은 시초의 뜻으로 즉위한 첫해를 원년이라 하는데, 노은공 원년은 주나라 평왕 49년이다.

『춘추』는 노나라의 역사기 때문에 연호를 사용하지 않고 주의 예에 따라 자(子)월로 해의 첫 달을 삼아 정월·2월·3월이 봄에 해당된다고 하였다. 이어 왕정월은 그때 왕이 정월로 치는 달이었기 때문에 열국이 그 예에 따른 것이라고 하였다.

「오년춘공관어당(五年春公觀魚棠)」에서는 『좌씨전』에는 ‘관(觀)’자가 ‘시(矢)’자로 되어 있으나 『공양전』·『곡량전』·『호씨전』에 모두 ‘관’자로 되어 있으므로 ‘관’자로 고친다고 하였다.

관련 미디어 (3)
집필자
권오호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