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성당유고 ()

한문학
문헌
조선 후기의 문인, 정시간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75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후기의 문인, 정시간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75년에 간행한 시문집.
편찬/발간 경위

1875년(고종 12) 정시간의 후손 정유규(鄭裕奎)와 정유석(鄭裕錫)이 편집하고 간행하였다. 권두에 후손 정문승(鄭文升)의 서문이 있으며, 발문은 없다.

서지적 사항

2권 1책. 목판본. 국립중앙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내용

권1은 시 53수, 서(書) 5편, 명(銘) 2편, 소(疏) 1편, 권2는 부록으로 만사(挽詞)·제문·유사·묘지명·묘갈명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는 만시가 15수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한다.

시 가운데 「과통영전양망한산구수영인억이통제유감(過統營前洋望閑山舊水營因憶李統制有感)」은 임진왜란 당시에 한산도에서 70여척의 적선을 격파하고 이듬해 한산도를 본영으로 삼도수군통제사(三道水軍統制使)가 된 이순신(李舜臣)의 충성심과 용맹을 기리고 이순신의 죽음을 애도한 것으로, 이순신을 찬양하고 경외하는 마음이 잘 나타나 있다.

그밖에 「망대마도(望對馬島)」·「통영(統營)」·「등진해동문루망견해중양소도(登鎭海東門樓望見海中兩小島)」 등 왜(倭)에 대한 적개심과 우국충정의 마음이 표출된 시들이 여러 편 있어 저자의 현실인식 태도를 살필 수 있다.

「독대학(讀大學)」·「독중용(讀中庸)」은 사서 가운데에 『대학』과 『중용』에서 얻은 학문의 자세를 시로 노래한 것이다. 경(敬)을 주로 삼으며 만세의 근원이 책에 있으니 성실한 자세로 임하며 한 가지 이치에 침잠하되 치우침도 편벽됨도 없이 하겠다는 각오를 다짐한 내용이다.

「우음(偶吟)」에서는 곤궁함 가운데 늙어버린 자신을 한탄하며, 이제는 조물주도 어찌할 수 없는 세월의 무상함을 읊조리기도 하였다. 그밖에 교우·형제들과의 차운시가 많다. 중형과 벗들에게 답한 서(書)가 있으나, 특별한 내용은 없고 안부의 내용이 주종을 이룬다.

의의와 평가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의 양란 뒤의 현실을 바라보는 선비의 안타까운 우국충정이 시로 잘 표현되어 있다.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